현대에너지솔루션, 새만금 태양광 발전소 눈독 5.6조 규모 초대형 EPC…태양광 기업 컨소시엄 구성 중
구태우 기자공개 2019-10-10 13:13:00
이 기사는 2019년 10월 08일 17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약 6조원 규모의 새만금 태양광 발전소가 내년 착공에 들어가면서 태양광 관련 기업들도 컨소시엄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 새만금개발청은 태양광 발전량을 기준으로 구획을 나눠 발주한다. 수주량을 확보하기 위한 태양광 기업의 눈치전이 한창이다.7일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 내년 하반기 300MW 규모의 육상 태양광 발전소가 착공에 들어간다. 이번 공사는 총 2.4GW 규모로 2.1GW에 달하는 수상 태양광 발전소는 환경 영향 평가를 거친 뒤 공사를 시작한다. 총 5조6000억원 규모의 공사가 내년 첫 삽을 뜨면서 태양광 기업의 움직임도 분주해지는 모양새다.
최근 새만금개발청은 수상 태양광 발전소의 공사를 맡을 사업자 모집에 들어갔다. 이번 공사의 규모가 워낙 커 기업들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하고 있다. 발전사와 태양광 기업, 금융권 등이 컨소시엄에 참여한다. 앞서 새만금개발청은 올해 상반기 육상 태양광 발전소 공사를 맡을 1차 컨소시엄 선정을 마쳤다. 한국전력 등 5대 발전사와 대기업들이 컨소시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수상 태양광 발전소다. 전체 프로젝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8%에 달한다. 공사비의 대부분이 수상 태양광 발전소에 배정됐다. 태양광 업계에서는 현대에너지솔루션과 한화큐셀이 이번 공사에 대한 수주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두 업체 모두 태양광 발전소 EPC(설계·조달·시공) 공사의 강점을 갖고 있다. 국내 외에서 트랙레코드를 쌓았다. 업계에 따르면 두 업체는 발전사와 금융권과 함께 컨소시엄 구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내년 초 컨소시엄 구성을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업체의 수주량도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이번 공사를 수주할 경우 태양광 기업은 기술력 위상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상 태양광 발전소는 전 세계적으로 사례를 찾기 어렵다. 이번 공사는 전 세계의 수상 태양광 발전소 설치량의 1.6배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 이번 공사에 참여하는 기업은 전 세계에 기술력을 선보일 수 있다. 사업성 측면에서도 태양광 기업에 이점이 크다.
한편 새만금 개발청은 2016년부터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준비했다. 새만금 개척 사업을 마친 지 21년이 지났지만, 유휴부지가 70%에 달한다. 이 부지를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로 활용하기로 했다. 완공을 마치면 연간 4687GWh의 전기 에너지를 생산된다. 170만 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