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림페이퍼, 인도네시아 조림사업 '쉽지 않네' 수종 최적화 과정서 일부 수종 고사, 대규모 손상차손 반영에 적자전환
박기수 기자공개 2020-03-19 08:41:07
이 기사는 2020년 03월 17일 16시2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인도네시아 내 조림 사업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무림그룹의 핵심 계열사 무림페이퍼가 지난해 혹독한 수업료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 최적화 과정에서 초기에 심었던 수종들 일부가 고사해 대규모 손상차손이 발생했다. 전사 실적에도 영향을 줄 정도로 큰 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무림페이퍼는 총 467억원에 달하는 기타영업외비용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타영업외비용이 41억원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변화다. 이에 무림페이퍼의 지난해 순이익은 적자 전환해 마이너스(-) 68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에는 순이익 615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영업외비용 467억원 중 95%에 해당하는 445억원이 유·무형자산손상차손이다. 이중 약 200억원에 해당하는 금액이 인도네시아 조림 사업에서 발생한 손상차손인 것으로 나타났다.
무림페이퍼 관계자는 "조림 사업은 통상 사업 시작 후 7년이 지나야 벌목이 가능하다"라면서 "1·2년차에 나무를 심으면서 어떤 종을 심어야 최적화가 될지 등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일부 수종이 죽어 손상차손이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무림페이퍼는 자회사 무림P&P를 통해 인도네시아 내에서 조림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무림P&P가 인도네시아 내 'PT.PLASMA NUTFAH MARIND PAPUA'라는 법인을 세워 '무림페이퍼-무림P&P-PT.PLASMA 법인'의 지배구조를 갖춘 셈이다. 2011년 인도네시아 파푸아 지역에 서울시 면적에 해당하는 약 6만5000ha 규모의 조림지를 확보하고, 2016년 초부터 본격적인 상업조림을 진행하고 있다.
무림그룹이 인도네시아 조림 사업에 나선 이유는 국내 최초 제지업의 수직계열화를 이루기 위함이었다. 무림페이퍼는 용지의 원료가 되는 '펄프'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를 국내 제지업체 중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조림 사업까지 더하면 펄프의 주원료인 목재 칩을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대규모 손상차손은 일회성에 그칠 것이라고 무림페이퍼 측은 설명한다. 무림페이퍼 관계자는 "사업이 시작된 후 쌓여왔던 손상차손을 한 번에 인식했다"면서 "사업 초기 단계의 수종 최적화 차원에서 생긴 손상차손이라 일회성이라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무림페이퍼는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1조1237억원, 688억원을 기록했다. 2018년보다 매출은 1.3% 늘어났지만 영업이익은 44.5% 줄어들었다. 펄프 가격이 2018년대비 지난해 하락하면서 펄프를 생산하는 무림P&P의 영업이익이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이다. 이 와중에 발생한 인도네시아 사업의 대규모 손상차손이 결국 무림페이퍼의 순이익을 적자로 돌린 주요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업 성과 평가]포스코홀딩스, 업황 악화에 고전…밸류업 '하위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
- [밸류업 성과 평가]삼양식품, '불닭'이 만들어준 밸류업 1위 '기염'
- [밸류업 성과 평가]메리츠금융·카뱅만 PBR 1배 이상, 저PBR '고질병' 여전
- [밸류업 성과 평가]7할이 PBR 1배 미만, 갈길 먼 '기업가치 제고'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1년, 어디가 잘했나…지표로 분석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