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액 '역성장' 유경PSG, 투심위축 '직격탄' [자산운용사 경영분석]②라임사태 등 외풍에 '롤오버' 지연…주력 부동산·사모펀드 감소
최필우 기자공개 2020-04-03 07:40:04
이 기사는 2020년 04월 01일 09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유경PSG자산운용의 펀드 설정액이 줄었다.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공모 부동산펀드와 사모펀드 설정액이 모두 감소했다. 라임자산운용 사태 등의 여파로 만기가 도래 펀드의 롤오버(roll over)에 좋지 않은 여건이 조성된 게 역성장 요인으로 꼽힌다.1일 금융투자협회 공시에 따르면 유경PSG자산운용은 지난해 펀드 설정액 1조738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2727억원(13.6%) 감소했다.

1년간 가장 큰 설정액 감소폭을 기록한 유형은 공모 부동산펀드다. 공모 부동산펀드 설정액은 2495억원으로 1700억원(40%) 감소했다. 이어 공모 파생형펀드(-530억원), 공모 혼합주식형펀드(-227억원)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사모펀드 설정액은 189억원 줄었다.
유경PSG자산운용의 설정액 감소는 지난해 하반기 본격화했다. 지난해 6월말 기준 공모 부동산펀드 설정액과 전문투자형사모집합투자기구 설정액은 각각 4195억원, 2조2851억원이었다. 전년말과 비교해 공모 부동산펀드 설정액은 같았고 사모펀드 설정액은 8749억원(62%) 늘었다. 이후 하반기에만 각각 1700억원(40%), 8939억원(39%) 씩 감소했다.
하반기 설정액 감소가 두드러졌던 배경에는 각종 금융 사고가 있다. 라임자산운용 환매 중단 사태 뿐만 아니라 파생결합펀드(DLF) 손실 사태, 독일 헤리티지 부동산펀드 파생결합증권(DLS) 상환 지연, 호주 부동산펀드 사기 사건 등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투자자 심리가 극도로 위축됐다.
특히 유경PSG자산운용이 주력으로 삼고 있는 부동산펀드와 사모펀드 신상품 출시가 쉽지 않았을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 사고가 주로 부동산과 사모펀드 영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부동산펀드의 경우 설정액이 커 롤오버 지연으로 인한 설정액 감소폭 확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유경PSG자산운용의 핵심 판매사들이 위축된 것도 설정액 감소 요인으로 꼽힌다. 유경PSG자산운용 펀드 판매잔고 2위, 3위, 4위는 하나은행(2476억원), 신한은행(1840억원), 우리은행(1805억원)이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DLF 손실 사태를 겪으며 만기가 도래한 상품 롤오버에 난항을 겪었다.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선제적으로 고객수익률 중심 핵심역량지표(KPI)를 발표해 과거와 같은 판매잔고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일임 계약고는 74억원을 기록했다. 1년 새 26억원(26%) 감소했다. 유경PSG자산운용은 펀드 비히클(vehicle)을 주력으로 삼고 일임 비즈니스에는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 일임수수료는 7000만원으로 전체 수수료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명확해진 M&A 원칙, 힘실릴 계열사는 어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베트남은행, 한국계 해외법인 '압도적 1위' 지켰다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밸류업 재시동 트리거 '비은행 경쟁력'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NH농협, '보험 전문가' 후보군 꾸렸지만 선임은 아직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40년 커리어' 마지막 과업, 금융시장 '부채→자본 중심' 재편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JB금융, 사외이사 후보군 '자문기관 위주' 전면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