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디벨로퍼 포럼]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개발·데이터센터 주목빅블러·올인홈 가속화, 공간수요 대변혁...디벨로퍼 역할 강조
신민규 기자공개 2020-10-30 09:56:56
이 기사는 2020년 10월 28일 16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4차산업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혁명과 코로나19로 촉발된 언택트 라이프 파고 속에서 국내 디벨로퍼들이 본격적인 성장섹터 발굴에 나섰다. 정부규제와 업황부진에 밀리지 않고 미래 부동산 산업을 적극적으로 이끌어 나가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디벨로퍼는 창의와 역량을 발휘해 미래 공간자산을 창조하는 개발 주역이다. 공간수요가 대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벨로퍼 본연의 가치는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들이 바라보는 미래 성장섹터에 대한 주목도 역시 함께 높아지는 추세다.
더벨은 28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벨로퍼 성장섹터 발굴'이라는 주제로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호텔에서 '2020 더벨 디벨로퍼 포럼'을 개최했다. 국내 부동산 개발시장의 지속성장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김도현 SK D&D RESI Solution 개발운용본부장은 SK D&D 사례를 중심으로 '특화 디벨로퍼, 성장 로드맵'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K-디벨로퍼' 역량으로 부를만한 요소를 찾아보고 외부 위협요인 속에서 어떤 미래를 준비해야 할지 살펴봤다.
조상우 DPR건설 아시아지사 대표는 '데이터센터 구축기회와 개발전략'이라는 주제로 3세션 발표를 맡았다.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등 다년간 데이터센터 구축 경험을 토대로 저비용·고효율 개발 노하우를 소개했다.

김 회장은 "디지털, 언택트 문화의 확산으로 모든 산업이 대변혁기에 들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공간 수요의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며 "이미 위기가 닥쳐온 리테일, 판매시설, 근린생활시설, 오피스 등이 주거와 같은 새로운 공간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온라인 언택트 소비 증가로 밀레니얼 세대가 증가하고 빅데이터·사물인터넷에 접목된 디지털화된 공간도 시대의 흐름으로 자리잡았다"며 "도시공간을 새롭게 만들어 가야 하는 중요한 시기로 도시재생을 넘어 새롭게 창조하는 창생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 교수는 "도시 용도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빅블러(Big Blur) 현상, 홈오피스·홈트레이닝·홈에듀케이션 등의 경향을 포괄하는 올인홈(All in Home)과 같은 사회변화에 따라 용도간 수요 변화가 생겨날 것"이라며 "수요에 얼마나 잘 대응하는지에 따라 디벨로퍼의 성패도 갈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IPO 계획 변함없다"
- 다나와 "그래픽카드 거래액 증가…신제품 출시 효과"
- 메리츠증권 PBS 진출 사력…NH증권 키맨 영입 '불발'
- VIP운용 조창현 매니저, '올시즌 2호' 4년만에 내놨다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머스트의 조용한 '구조 개입'…침묵이 아닌 설계
- 한국증권, 채권형 중심 가판대 재정비
- 알토스벤처스, 크림 구주 인수 검토…1조보다 낮은 밸류
- 한화증권, 해외 라인업 강화 스탠스 '고수'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금융사도 일임 경쟁 참전…관건은 은행권 확보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고객만족 최우선시, 시나리오별 절세 노하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