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M&A]'코너 몰린' 3자연합, '지분 매집' 공세 나서나법원 기각 결정에 KCGI '위기감'…한진그룹과 틀어진 메리츠금융그룹과 손잡나
김경태 기자공개 2020-12-03 09:02:03
이 기사는 2020년 12월 01일 15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이 KCGI가 제기한 주장을 기각하면서 KDB산업은행과 한진그룹이 추진하는 빅딜이 계획대로 추진될 전망이다. 다만 KCGI를 비롯한 3자연합에서도 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지분 매집에 더 속도를 내는 것이 대응 방안 중 하나로 거론된다.1일 서울중앙지법은 KCGI의 '유한회사 그레이스홀딩스 외 7명'이 제기한 한진칼 신주발행금지가처분 신청 소송에서 원고 주장을 기각했다. 이로써 FSC 통합의 첫 단계인 산은을 대상으로 한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예정대로 진행할 수 있게 됐다.
KCGI 등 3자연합이 첫 반대 방안을 관철시키는 데는 실패했지만, 향후 추가 공세에 고삐를 죌지 주목된다. 특히 추가 지분 매집에 속도를 내 반대 편보다 확실한 우위에 서는 방안을 추진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현재 3자연합의 한진칼 지분율은 46.71%로 조 회장과 한진그룹 측 우호지분(41.4%)을 앞선다. 산은을 대상으로 한 한진칼 유증이 진행되면 산은이 3대주주(10.7%)로 등극한다. 산은을 더한 조 회장 측 지분은 47.3%다. 유증으로 지분율이 42.9%로 낮아지는 3자연합을 앞서게 된다.
하지만 조 회장 측이 3자연합보다는 우위이기는 하나 '50%+1주'에는 도달하지 못한다. 유증이 완료된 후 '한진칼 소액주주연대' 등이 보유한 잔여 지분 확보 공세에 나설 여지가 있다.
3자연합은 최근 주식담보대출을 변경하며 실탄 마련 움직임을 보였다. KCGI의 엠마홀딩스는 올 10월26일 보유 중인 한진칼 주식 24만9688주(0.41%)를 기반으로 유화증권과 담보대출계약을 맺었다. 기간은 내년 4월23일까지다.
그레이스홀딩스는 지난달 12일 보유 중인 한진칼 주식 550만주를 메리츠증권에 담보로 제공했다. 계약기간은 1년으로 내년 11월12일까지다. 아울러 지난달 18일에는 동원제일저축은행, 유니온저축은행, 대백저축은행,센트럴저축은행과의 담보계약을 해지했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은 10월 말부터 DB손해보험, 한국캐피탈, 우리은행, 상상인증권,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무림캐피탈, 하나금융투자, SK증권과 잇달아 주식담보계약을 체결했다.
반도건설은 3자연합 중 가장 탄탄한 자금력을 보유하고 있고, 장기 투자가 가능하다고 평가받는다. 반도건설 계열이 담보로 제공한 한진칼 주식은 대호개발이 소유다. 올해 3월 BNK부산은행과 주식담보계약을 맺고 한진칼 주식 497만1627주(8.17%)를 담보로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한진그룹과 사이가 좋지 않다는 점은 재계에 익히 알려져 있다. 메리츠금융그룹은 그간 한진그룹이 경영권 분쟁을 겪고 대한항공의 경영 상황이 악화됐을 때도 언급을 자제했다. 이 때문에 지난달 KCGI와 주식담보계약을 체결한 것을 두고 '의외'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KCGI는 작년 9월말 공익재단법인 통일과나눔재단이 보유하던 대림그룹 지주사 대림코퍼레이션 주식 343만7348주(지분율 32.65%) 전량을 취득했다. 금액은 1200억원 규모다. 이 투자를 위해 만든 '케이씨지아이 제1호의12 사모투자합자회사'에 메리츠종금증권은 200억원을 출자했다. 올 3분기말 장부가는 200억원으로 변동 없다.
다만 이번 빅딜이 정부 차원에서 추진된다는 점은 부담이다. 산은은 빅딜을 진행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를 비롯한 정부 부처와 협의를 거쳤다. 빅딜을 공식 선언한 시점도 지난달 16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마친 뒤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
- [thebell interview]김종윤 비버웍스 대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경쟁력 확고"
- 비버웍스, 시장 격변 넘을 카드 '토털솔루션·인하우스'
- 삼성전자, DX부문 공백 최소화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