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지랩파마 자회사, '탈레트렉티닙' 임상 2상 '고무적' 부분관해율 75% 기록, 1차 치료군 확대 예정 "30% 환자 데이터 축적 후 중간결과 발표"
신상윤 기자공개 2022-08-24 13:53:05
이 기사는 2022년 08월 24일 13:5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뉴지랩파마는 24일 자회사 뉴지랩테라퓨틱스가 개발하고 있는 '탈레트렉티닙'의 국내 임상 2상에서 부분관해율(PR) 7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객관적 반응률(ORR)' 기준 암 병변의 크기가 30% 이상 줄어든 것을 말한다. 또 다른 장기로 미전이 상태가 4주 이상 지속되는 상황으로 약효 검증을 의미한다.

탈레트렉티닙은 올해 6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대상을 기존 2차 치료제 투약군에서 1차 치료제로 확대한 바 있다. 이번 2차 치료군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가 드러난 만큼 향후 진행할 1차 치료제 투약군 대상 임상에서 더욱 증대된 효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탈레트렉티닙은 글로벌 임상 당시 1차 치료군에서 완전관해 2건이 발생하는 등 치료 효과를 보였다. 미국 안허트테라퓨틱스가 올해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발표한 글로벌 임상 2상 중간결과에선 완전관해 2건과 1차 치료제 투약군의 ORR 92.5%, 2차 치료제 투약군 ORR 50%가 관찰됐다. 뇌 전이 병변이 있는 환자는 ORR 91.7%로 공개됐다. 이는 동일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한 화이자의 1차 치료제 '잴코리(크리조티닙)'의 승인 당시 ORR 73%를 상회하는 수치다.
뉴지랩파마 관계자는 "이번 국내 임상 2상 결과는 신체적 기능 저하와 예후가 좋지 않은 2차 치료군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로 6주 이상 투약 환자들에게서 호전 증상이 관찰된 만큼 더욱 고무적"이라며 "최근 탈레트렉티닙과 비슷한 치료제를 개발한 '터닝포인트'가 글로벌 제약사 BMS에 5조원에 인수되는 등 시장의 가치는 더욱 높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임상 2상 관련 30% 이상 환자 데이터 축적 시 중간 결과도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증권, 후순위채 증액 성공…1200억 자본 확충
- SK텔레콤, 신종자본증권 2배 수요 모았다
- '2차전지 뜨겁네' 동화일렉트로라이트, 1200억 프리IPO 성료
- [넘버원 K-가전 기술]경동나비엔, 'OK or NG' 검사로봇의 품질관리
- 시프트업, 밸류업 무기는 '콘솔 신작'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일본 반도체 거점 늘리는 삼성전자, 세 가지 쟁점 보니
- [글로벌 빅테크와 기울어진 운동장]최초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규제 우회에 '유명무실'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베트남 IT 교육 선점…이제는 B2B로 눈 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