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대주주 떠난 KB오토시스, 경영승계 탄력 받나 2세 김신완 대표 지분 7%대로 확대, 블록딜로 15억원어치 사들여
황선중 기자공개 2022-10-26 08:08:03
이 기사는 2022년 10월 20일 14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차량용 부품 제조업체 'KB오토시스'의 오너 2세인 김신완 대표가 처음으로 지배력 강화에 나섰다. 입사 이후 20여년 동안 지배력 확대를 위해 특별한 행보를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된다. 시장에서는 KB오토시스 경영권 승계 작업에 속도가 붙은 것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20일 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지난 12일 시간외매매(블록딜) 방식으로 KB오토시스 보통주 41만5457주를 약 15억원에 사들였다. 지분으로 환산하면 3.61%를 새로 취득한 것이다. 오너 2세인 김 대표가 주식을 매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은 부친인 김용웅 회장에게서 증여받은 43만주(3.74%)만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번에 주식을 매입한 배경에는 2대주주였던 '에프-엠모터파츠리미티드'의 엑시트(Exit·투자회수)가 있다. 영국계 차량용 부품 제조업체인 에프-엠모터파츠리미티드은 10년 넘게 KB오토시스 2대주주로 자리했지만, 올 하반기 보유주식 전량을 처분했다. 김 대표는 에프-엠모터파츠리미티드가 내놓은 지분 일부를 사들인 것이다.
김 대표는 주식을 사들이기 위해 차입금까지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주식 매입 전날인 11일 하나증권과 주식담보계약을 체결했다. 보유 주식 41만2371주를 담보로 제공하고 8억원을 대출받았다. 이자율은 5.25%이다. 김 대표가 주식담보대출을 일으킨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눈에 띄는 점은 부친인 김 회장 역시 같은날 대동소이한 조건으로 주식담보대출을 일으켜 4억4000만원을 차입했다는 점이다. 부자가 주식담보대출로 마련한 금액은 총 12억4000만원이었고, 모두 김 대표의 주식 취득 자금으로 쓰인 것으로 파악됐다. 나머지 2억 6000만원은 김 대표 개인 자금으로 충당했다.
시장에서는 오너일가가 경영권 승계를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창업주인 김 회장은 1985년 10월 한국베랄이라는 이름으로 KB오토시스를 설립했다. 그때부터 최대주주 자리를 지키고 있다. 김 회장이 보유한 지분은 13.70%이지만, 친인척과 임원으로 구성된 특수관계인 24인까지 모두 포함하면 38.16%에 달한다.
경영권 자체는 장남인 김 대표가 안정적으로 물려받은 모습이다. 1968년생인 김 대표는 독일 쾰른대 경영학석사(MBA) 출신으로 1998년 KB오토시스에 입사해 경험을 쌓았다. 2012년 3월에는 각자대표로 임명됐고, 2015년 12월엔 숙부인 김용길 각자대표가 물러나면서 단독대표가 됐다. 김 회장은 사내이사 및 이사회의장직을 맡고 있다.
문제는 지배력이었다. 김 대표는 10년 넘게 경영을 책임지고 있지만, 지배력은 안정적이지 않았다. 2017년 12월 부친에게서 수증한 지분 3.74%가 전부였다. 오히려 친인척인 김신영 씨가 더 많은 지분(5.13%)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김 대표가 지배력을 확대하면서 지분 7.35%를 보유한 2대주주로 자리잡게 됐다.
여기에 김 대표는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만큼 지분 취득을 통해 주가 방어라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도 있다. 통상 최대주주의 주식 매입은 시장에서 주가가 저점이라는 신호로 읽히기 때문이다. 실제로 KB오토시스 주가는 지난 5월 1만원에 육박했지만, 최근에는 3000원대까지 떨어진 상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황선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 카카오엔터 매각 배경에 '진퇴양난' 수익성
- 미래 불안한 JYP엔터, '군살빼기' 속도
- [게임사 인건비 리포트]'많이 말고 제대로' 소수정예로 승부하는 시프트업
- 실적 추락한 슈퍼캣, '창업주 복귀' 돌파구 될까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게임사 인건비 리포트]넥슨, 임직원수 9300명 돌파…비용도 '매머드급'
- 넥슨, '카잔'으로 오랜 숙원 푸나
- [Company Watch]리디, 적자에도 현금 벌었지만 '일시적 영향'
- [웹툰사 지배구조 점검]적자 커진 와이랩, 공격적 투자 전략 '난기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