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엔플러스, 2차전지 각형 배터리 개발 "내달 말 생산" 100Ah 용량, 자체 개발 전극·도전재 활용…안전성·사용률 파우치보다 고성능
신상윤 기자공개 2022-10-20 14:19:45
이 기사는 2022년 10월 20일 14:1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가증권 상장사 이엔플러스는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로 사용할 수 있는 각형 리튬 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도전재와 전극 등 2차전지 핵심 소재뿐 아니라 배터리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셈이다.이엔플러스가 개발한 각형 리튬이온 배터리는 100Ah(암페어시) 용량이다.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전극과 도전재를 적용해 각형 배터리를 만든 곳은 손에 꼽을 정도로 알려졌다. 이엔플러스는 이번에 개발한 각형 배터리를 중심으로 완제품 시장까지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지난해 폭스바겐그룹이 각형을 채택하는 등에 힘입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셀투팩(CTP·Cell To Pack)'과 '셀투섀시(CTC·Cell To Chassis)' 등 기술이 등장하면서 파우치형과 동등한 수준의 에너지 밀도를 가지며 경쟁력을 보인다. 또 재사용도 유리해 ESS 분야에서 높은 채택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엔플러스는 이달 중 국내 중견기업과 배터리 조립 및 추가 생산설비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이르면 다음달 말부터 본격적인 생산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엔플러스는 기존보다 2~4배 정도 긴 '롱타입(Long Type)' 각형 배터리 도전재와 전극 개발도 마쳤다. 완제품 개발까지 성공하면 기존 제품과 비교했을 때 에너지 밀도가 더 높고, 팩의 무게는 낮출 수 있어 주행거리 개선이 기대된다.
이엔플러스 관계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100Ah 용량의 각형 배터리를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국내외 고객들과 비즈니스 논의가 가능하다"며 "이르면 내달 말부터 본격 생산에 돌입할 계획인 가운데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는 상용화에 시간이 필요한 만큼 이번 각형 배터리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등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재계 차세대 지형도]LX 1세대, 구본준 회장의 독립 2년
- [지주사 자본재분배 성적표]투자회수 본격화, 주주환원도 개시
- [조달전략 분석]코스모신소재 마주한 두가지 '경고등'
- [재계 차세대 지형도]'3세 막내' 구본권 영업부문장의 젊은 리더십
- [thebell interview]"통합 보안 플랫폼 구축, 영업익 200억 달성 목표"
- [나라셀라 road to IPO]수요예측 '저조'에도 주가 상승 모멘텀 '여전'
- [현대차그룹 EV 2030 중간점검]판매목표 360만대, 미국과 유럽을 잡아야 한다
- [중소 스마트팩토리 모니터]MDS테크, 존재감 키우는 '산업자동화 솔루션'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넥스틴, 미·중 반도체 전쟁 수혜에 '쾌속 성장'
- [중소 지주사 요건 점검]대웅, 자산 5000억 돌파...지주사 요건 근접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미래컴퍼니, 확고히 정립된 2세 김준구 대표 체제
- 디에이테크, 2차전지 장비 수주 낭보 이어진다
- 국보, 우크라니아 재건 DB 확보 나선다
- 폴라리스오피스, '비대면 바우처 사업' 3년 연속 선정
- 해성옵틱스, 이노비즈 A등급 인증
- [코스닥 우량기업 리뷰]1년 만에 복귀 미래컴퍼니, 기업·재무·시장 기준 '균형'
- 세토피아, 베트남 VTRE 합작 'GCM' 30억 출자 완료
- 메콕스큐어메드·일성신약, '보자닉스' 신약 개발 맞손
- 국보,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 지원
- 폴라리스오피스, 계열사 '폴라리스세원' 50억 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