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금융, 이자이익 증가로 실적 견인 이자이익 10.7% 급증…비은행 부문 부진은 향후 과제
김형석 기자공개 2022-10-31 08:06:29
이 기사는 2022년 10월 28일 17:23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NH농협금융지주가 3분기에도 견실한 실적을 기록했다. 기준금리 상승으로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된 영향이다. 주력 계열사인 은행이 이자이익을 기반으로 성장세를 이어갔고 농협생명도 전년 대비 두 배 이상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다만 증시와 채권시장이 냉각되면서, 비이자이익이 급감한 것은 향후 과제가 될 전망이다.
28일 농협금융지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조9717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8247억원) 대비 1470억원(8.1%) 증가했다. 3분기 중 당기순이익은 62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4% 늘었다.
순이익 증가는 이자이익 증가 영향이 컸다. 기준금리 상승으로 대출자산의 성장으로 순이자마진이 개선됐다. 같은 기간 농협금융의 이자이익은 6조9871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6조3134억원) 대비 6737억원(10.7%) 증가했다.
수익성 지표인 ROE와 ROA는 각각 11.03%(농업지원사업비 전 12.32%), 0.53%(농업지원사업비 전 0.59%)를 기록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27%로 전년 동기 대비 0.1%포인트 개선됐다.
특히 농협금융은 경기 불확실성을 대비해 충당금 적립액이 1년새 두 배 이상 증가했음에도 순이익은 오히려 늘었다. 농협금융의 올해 누적 신용손실충당금 전입액은 51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2%(2677억원) 급증했다. 대손충당금 적립률 역시 177.23%에서 265.76%로 상승했다.
계열사 중에서는 농협은행과 농협생명의 실적 호조가 그룹 순이익 증가에 힘을 보탰다.
농협은행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8.0% 증가한 1조4599억원을 기록했다. 농협은행은 기준금리 상승으로 1년 새 NIM(카드제외)이 1.43%에서 1.55%로 0.12%포인트 상승했다. 원화대출금은 전년 동기 대비 5.1% 증가한 265조2589억원 늘었다. 부동산 시장 불황으로 가계대출은 1.5%(2조858억원) 소폭 감소했지만, 기업대출이 13.5%(11조6945억원) 급증했다.
농협생명의 순이익은 2421억원으로 전년 동기(1142억원)보다 112% 증가했다. 영업수익이 전년 동기 대비 1조192억원(13.6%) 증가하면서, 영업비용 증가폭(8875억원)을 상회했다.
농협금융이 3분기까지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향후 실적 개선세가 유지될지는 아직 물음표다. 은행의 이자이익 의존도가 커지고 있는 데다, 수수료이익 등 비이자이익이 크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증시 불안과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로 비은행 주력 계열사의 실적도 악화되고 있다.
농협금융의 비이자이익은 이자이익과 정반대 모습을 보이고 있다. 농협금융의 3분기 누적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1조5331억원)보다 50.1% 줄어든 7592억원에 불과했다. 특히, 3분기 중 비이자이익은 1343억원에 불과해 전분기보다 56.8%(3110억원) 급감했다.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2%, 54.7% 줄었다.
비은행 계열사의 부진도 향후 성장세 지속에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NH투자증권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23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5%(5084억원) 감소했다. 특히, 3분기 중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기간(1197억원)의 10분의 1 수준인 121억원에 그쳤다.
농협손해보험도 올해 누적 순이익이 831억원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5.1%(45억원) 감소했다. 3분기 중 순이익은 72.2% 급감했다.
올해 누적 순이익에서 상승세를 보였던 농협생명 역시 3분기 중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0.2%(1077억원) 감소했다.
그룹 순이익에서 비은행 계열사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비은행 부문의 당기순이익 기여도도 급감했다. 올해 3분기 기준 비은행 부문의 당기순이익 기여도는 1년 새 34.9%에서 28.1%로 감소했다. 그룹의 총자산 중 비은행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37.4%인 점을 감안하면, 비은행 부문이 자산 대비 수익성이 낮은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현대차증권, 후순위채 증액 성공…1200억 자본 확충
- SK텔레콤, 신종자본증권 2배 수요 모았다
- '2차전지 뜨겁네' 동화일렉트로라이트, 1200억 프리IPO 성료
- [넘버원 K-가전 기술]경동나비엔, 'OK or NG' 검사로봇의 품질관리
- 시프트업, 밸류업 무기는 '콘솔 신작'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곳간 비어가는 타다, 토스·쏘카 '추가 출자'는 언제
- 일본 반도체 거점 늘리는 삼성전자, 세 가지 쟁점 보니
- [글로벌 빅테크와 기울어진 운동장]최초 인앱결제 강제 방지법, 규제 우회에 '유명무실'
- [모빌리티 플랫폼은 지금]우티, 유한회사 한계…우버 의지에 달린 생존 가능성
- "베트남 IT 교육 선점…이제는 B2B로 눈 돌린다"
김형석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박차훈 회장 "위기 극복으로 100년 금고 기반 다져야"
- 부동산PF 대주단, 출범 20여일 만에 8곳 협의체 가동
- [이사회 분석]농협은행, 리스크전문가 반채운 이사 발탁
- 금감원, 25일 농협은행 이사진과 면담…리스크 대응 논의
- 수협, 공제사업 1000억원 단기 차입 한도 설정
- 농협은행, 홍콩지점 출범 첫해 46억원 적자
- 농협은행, NH멤버스 전략 수정…데이터 확보 주력
- 농협중앙회, 10년 만에 대출금리 산정 시스템 재구축
- [CFO워치/농협중앙회]이재식 전무, 적자전환 경제지주 지원 과제
- 농협은행, 농협캐피탈에 1900억원 신용공여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