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석유화학 합성고무 수출 효자 '미주지역' 서남아시아 제치고 첫 '톱3' 기록…아시아 시장 위축 속 북미 수요 개선 효과
김동현 기자공개 2023-05-08 07:13:37
이 기사는 2023년 05월 03일 08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호석유화학의 합성고무 수출 가운데 미주 지역이 처음으로 '톱3' 안에 드는 성과를 기록했다. 지역별 합성고무 수출 비중을 지금과 같이 분류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처음이다.미주 지역 수출 비중이 올라갈 수 있었던 데는 아시아 시장 위축과 북미 수요 개선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주 시장이 아직 뚜렷한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중국을 대체할 지역으로 자리매김할지 주목된다.
◇합성고무 수출 비중, 아시아 3개 지역 고착화
2일 금호석유화학 1분기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합성고무 수출 가운데 미주 지역이 차지한 비중은 17%였다. 지난해 말 10% 수준이던 미주 비중이 7%포인트(p) 올라갔다. 아울러 미주 수출은 서남아시아(13%)를 제치고 처음으로 상위 3번째 수출 지역에 들어갔다.
금호석유화학은 2006년 그룹 IR 자료부터 합성고무와 합성수지 사업의 지역별 수출 비중을 공개했다. 양대 사업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조하기 위함으로 동아시아(중국 포함)부터 아프리카까지 총 7개 지역으로 구분했다.
다만 2016년부터 매출 비중이 크지 않은 오세아니아, 아프리카 등을 기타로 묶고 아시아 지역을 중국, 동남아, 서남아 등 3개로 세분화해 분류하기 시작했다. 당시 합성고무 수출 중 동남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3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과 서남아 등이 각 24%로 뒤를 이었다.
이러한 아시아 3개 지역은 합성고무 수출 상위 3대 시장으로 굳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동남아의 경우 금호석유화학이 2008년 합성고무 신사업으로 의료용 고무장갑 소재인 NB라텍스를 점찍을 당시 그 핵심 시장으로 선정한 지역이고, 중국은 오랜 기간 회사의 최대 수출지로 자리매김한 곳이다.
2010년대 들어 NB라텍스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며 동남아 수출 비중은 50%선에 육박했고 코로나19로 의료용 고무장갑 수요가 폭발하기 시작한 2020년에는 그 수치가 64%까지 치솟았다. 이듬해 동남아 수출 비중은 50%로 다시 줄긴 했으나 지속적인 라텍스 수요로 당시 합성고무 매출(3조521억원) 자체는 전년 대비 66%나 급증했다.
◇기대 못미친 중국 리오프닝, 미주 비중 확대
그러나 엔데믹 전환과 함께 NB라텍스 시황이 악화하며 금호석유화학의 합성고무 실적도 한풀 꺾인 상태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 봉쇄 정책과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로 2022년 연간 합성고무 매출은 최대 실적을 기록한 2021년보다 16% 줄었다.
올해 1분기 합성고무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7%가량 감소한 5764억원을 기록하며 좀처럼 올라오지 않는 아시아 수요를 실감하게 했다. 전방산업의 주요 지표라 할 수 있는 중국시장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도 기대만큼 크지 않았다.
다만 아시아 지역의 빈자리를 미주 지역이 일부 메꾸며 이 지역 수출 비중이 17%까지 올라간 점은 위안으로 삼을 만하다. 그동안 미주 지역은 아시아, 유럽과 함께 3대 핵심 전략지역으로 꼽혔지만 아시아 시장의 존재감이 워낙 커 크게 주목받지 못하던 상황이다.
이 가운데 비교적 빠르게 코로나19 봉쇄 상황에서 벗어난 북미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낸 점은 향후 현지 시장 확대를 기대하게 만드는 요소다. 합성고무 매출 5764억원을 기준으로 올해 1분기 미주 지역 수출액을 추산하면 약 800억원대 수준으로 예상된다.
현재 금호석유화학은 자회사 금호폴리켐을 통해 기능성합성고무(EPDM) 시장에도 뛰어든 상황이다. EPDM은 자동차 문 고무 패킹, 범퍼 등 자동차 소재로 활용되는데 향후 미국·유럽 등을 중심으로 한 전기차 전방산업 확대에 따라 모회사의 글로벌 수출 비중 다각화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매각 추진중인 현대IFC, 현대제철에 첫 배당
- 한화에어로, 동유럽 생산 '현지화'...내년에 자금 80% 투입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새출발' 인베니, 투자·배당이익 선순환 집중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 현대제철 미국 현지 JV 검토 배경은
- [중견 배터리사 점검]동화일렉, 자회사 적극지원으로 '글로벌 신증설' 마무리
- [중견 배터리사 점검]동화일렉, 그룹 편입후 첫 적자...미·EU 돌파구 찾는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현대사이트솔루션 '건설기계·인프라코어' 기여도 올라갈까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배당여력 '빵빵' ㈜한화, 생보가 에어로 기여도 제쳤다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GS, 하반기 배당수익 원천 GS칼텍스 '중간배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