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Paper]신한은행, 포모사본드 흥행…틈새시장 '절묘한' 공략차환 위한 5억달러 발행 확정…안정적 조달 가능한 포모사본드로 리스크 '봉쇄'
윤진현 기자공개 2023-10-16 07:27:34
이 기사는 2023년 10월 13일 12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은행이 포모사본드(Formosa Bond)로 틈새시장 공략을 통한 흥행에 성공했다. 대만 금융시장에서 달러화 채권 발행에 도전한 결과 거뜬히 수요를 모으며 5억달러 조달을 확정했다. 벤치마크 수준의 발행액(3억달러)보다 증액해 조달하는 데 성공했다.한국물(Korean Paper) 시장의 정기 이슈어 답게 현명한 전략을 택했단 분석이 나온다. 일반 달러채 시장보다 변동성이 적은 대만 금융시장을 타겟팅한 결과여서다. 이로써 신한은행은 오는 11월 만기가 도래하는 달러채를 안정적으로 차환할 전망이다.
◇2020년 이후 3년만의 포모사본드, 5억달러 발행 '확정'
13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12일 오전(현지시간) 포모사본드 발행을 위한 북빌딩(수요예측)에 돌입했다. 포모사본드는 대만 금융시장에서 대만달러 이외의 통화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대만을 비롯한 아시아국가에서 프라이싱을 진행했다.
트랜치(만기구조·tranche)는 5년 단일물 변동금리부채권(FRN)으로 구성했다. 이니셜가이던스(IPG·최초제시금리)는 SOFR(Secured Overnignt Financing Rate) 금리에 110bp를 가산한 수준이었다.
프라이싱 결과 6억5000만달러를 상회하는 주문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예상했던 발행액은 벤치마크 수준인 3억달러였다. 다만 안정적으로 주문을 확보한 결과 5억달러 발행을 확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신한은행은 금리 메리트도 확실히 챙겼다. 가산금리(스프레드)는 SOFR금리에 108bp를 더한 수준으로 확정했다. 이니셜가이던스보다 2bp 낮게 발행을 마친 셈이다. 이는 일반 달러화채권의 금리와 비교해도 안정적으로 조달을 마친 수준이다.
신한은행은 이번에 조달하는 자금을 차환 용도로 활용할 전망이다. 앞서 2018년 발행한 달러채의 만기가 오는 11월 5일 도래하는 탓이다. 당시 신한은행은 5년 만기의 글로벌본드로 5억달러를 조달했다.

◇대만 시장 타겟팅 '절묘'…ESG채권 정규 이슈어 입지도 '확고'
업계에서는 신한은행의 조달 다각화 전략이 절묘했다고 바라봤다. IB업계 관계자는 "포모사본드는 대만 금융시장을 타겟으로 하기에 변동성이 다소 적은 편"이라며 "최근 글로벌 채권 시장의 투심을 가늠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전략적 발행이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신한은행의 포모사본드 발행은 2020년에 이어 3년 만이다. 더벨플러스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2020년 4월 포모사본드로 5억달러 발행을 마무리한 바 있다.
올해 국내 이슈어의 포모사본드 발행은 한국도로공사, KDB산업은행에 이어 3번째다. 앞서 두 이슈어는 모두 3억달러 발행을 확정한 바 있다. 대만 기관투자자들도 국내 이슈어의 다각화 시도에 힘을 실어주듯 주문이 몰리고 있다는 후문이다.
게다가 신한은행이 이번 채권을 소셜본드(social bond) 형태로 발행한 점도 흥행요인으로 꼽힌다. 소셜본드는 조달 자금의 사용처가 사회적 사업 등으로 제한된 채권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의 일종이다.
특히 신한은행은 ESG채권 정규 발행사(frequent issuer)로서 코로나대응채권, 기후채권 등 다양한 형태의 ESG채권을 발행하고 있다. 올 4월에는 국내 최초로 젠더본드(Gender Bond)를 찍기도 했다.
신한은행의 국제 신용등급은 A다. 무디스는 'Aa3'를 부여한 가운데 S&P와 피치는 각각 'A+', 'A'를 제시했다. 이번 딜은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과 크레디아그리콜CIB, HSBC가 주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엔무브 IPO]상장 앞두고 실적 '주춤'…밸류 영향줄까
- [세미파이브 IPO]삼성 파트너와 결이 다르다…해외 피어그룹도 '거론'
- [thebell League Table]LG CNS IPO 효과...KB증권 왕좌 탈환 성공
- [thebell League Table]랜드마크 딜 섭렵 씨티증권, '7연패' 기틀 다졌다
- [세미파이브 IPO]6년간 매출 성장률 '120%'…에쿼티스토리 '가산점'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계열 시너지+메가허브로 성장성 어필
- [IB 풍향계]IPO '빅3' 떠오른 삼성증권, 코스피 빅딜로 기세 이어갈까
- 토스, 최초 연간 흑자 달성…앱 출시 10년만에 성과
- [세미파이브 IPO]2분기 예심 '가닥'...코스피 vs 코스닥 최적 전략 고심
- [Korean Paper]'순식간에 70억달러' 석유공사…달러채 재개 선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