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사경영분석]롯데카드, 이자비용 증가폭 최대…빛바랜 영업 선방영업이익 34.7% 감소…업계 유일 'AA-' 등급, 조달 페널티로 작용
이기욱 기자공개 2023-11-17 07:11:36
이 기사는 2023년 11월 16일 17시2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카드가 종합금융사업(비카드사업)부문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다소 아쉬운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자회사 매각 일회성 요인으로 순익은 늘었으나 실질적인 영업이익은 줄었다.비카드 부문이 할부금융, 팩토링 등으로 영업을 다변화하며 수익을 일부 방어했지만 이자비용 증가액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고금리 여파카 컸다. 전체 카드사 중 이자비용이 가장 많이 증가했는데 카드업계 유일한 'AA-' 신용등급이 갖는 페널티가 확인됐다.
16일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올해 3분기 365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2695억원) 대비 35.7% 증가한 수치다. 자회사 매각에 따른 일회성 요인이 순익 개선을 견인했다.
롯데카드는 지난 5월 보유하고 있던 로카모빌리티 지분 100%와 ㈜마이비 지분 4.8%를 맥쿼리자산운용(케이마이홀딩스)에 매각했고 그 과정에서 중단영업순익이 1988억원 발생했다. 이를 제외한 계속영업분기순이익은 167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2584억원) 대비 35.1%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3229억원에서 2110억원으로 34.7% 줄어들었다.
외부 악재들에도 불구하고 영업 부문은 선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MBK파트너스 체제 하에서 수 년 동안 롯데카드의 수익성 개선을 이끌어온 종합금융사업부문이 수익 다변화 성과를 냈다. 부동산PF 영업 제한으로 인해 대출 취급액이 지난해 3분기 1조7852억원에서 5785억원으로 67.6% 줄었지만 자동차할부금융, 기계할부금융 영업으로 이를 보완했다.
자동차할부금융 이용액은 1421억원에서 3183억원으로 124% 증가했고 기계할부금융 이용액 역시 149억원에서 300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팩토링 취급액도 2043억원에서 2502억원으로 22.5% 증가했다.
자산규모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대출자산(상각 후 원가측정 기준)은 지난해 3분기말 3조1668억원에서 2조6143억원으로 17.4% 줄어들었으나 할부금융자산이 2427억원에서 5673억원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났고 팩토링 자산도 2908억원에서 4422억원으로 52.1% 증가했다. 전체 종합금융자산은 3조7117억원으로 지난해(3조7686억원)와 비슷한 수치를 유지했다.
본업인 신용판매 역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올해 3분기 롯데카드의 신판 이용액은 79조701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66조1040억원) 대비 12.9% 증가했다. 장기카드대출(카드론)과 단기카드대출(현금서비스)도 각각 4.5%, 7.3%씩 늘어났다. 카드수익은 2916억원에서 3301억원으로 13.2% 증가했고 이자수익도 1조124억원에서 1조2192억원으로 20.4% 늘어났다.
문제는 이자비용의 급증이었다. 올해 3분기 롯데카드의 이자비용은 425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2234억원) 대비 90.2% 증가했다. 증가액은 2016억원으로 모든 카드사 중 가장 많았다. 업계 1위 신한카드(2007억원)보다도 이자비용이 많이 늘어났다. 신한카드의 조달 평균잔액은 42조7149억원으로 롯데카드(16조8746억원) 보다 2.5배 많다.
신용등급이 고금리 환경에서 페널티로 작용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현재 롯데카드에 'AA-' 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롯데카드를 제외한 타 카드사들은 모두 AA+(신한·삼성·KB국민·BC카드) 또는 AA0(현대·하나·우리카드)에 해당한다.
신용등급 차이로 인한 조달 평균 이자율은 롯데카드가 3.31%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중이다. 9월에 발행한 회사채(200억원, 2년) 역시 롯데카드는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4.93%)로 결정됐다. 비슷한 시기 조건이 같았던 KB국민카드의 경우 4.54%의 금리로 발행했다. 신한카드의 경우 만기가 3년으로 더 길었음에도 4.48%의 금리를 기록했다.
자체 신용도보다는 최대주주의 성향이 신용등급 차이를 만들고 있다. 금융지주계열 카드사와 삼성카드는 회사에 대한 비경상적 지원가능성이 반영돼 1노치(notch) 상향조정이 이뤄진다. 반면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대주주로 있는 롯데카드에는 비경상적 지원 가능성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LB·HLB생명과학 합병, 리보세라닙 CRL 충격 극복 강수
- [한미약품그룹 리빌딩]지주 첫 CEO 김재교 부회장, '오픈이노베이션' 직접 챙긴다
- 톡신 후발 종근당, 분명한 균주출처 강점 '상업화' 목전
- '해외베팅' 동방메디컬, 전략적 인수 '가족회사' 활용법 고심
- 자본잠식 해소한 에이비온, 핵심은 법차손 규제
- [이사회 모니터|바이젠셀]새주인 '가은' 체제 확립, 정리 못한 보령 지분 '이사직 유지'
- 에이비온의 넥스트 'ABN202', 미국 개발 '합작사' 추진
- [제약사 넥스트 오너십]삼진제약, 공동경영에도 불균등 지분…외부세력 양날의 검
- 종근당, '인니 법인' 2년 흑자 '손상' 대여금 회수 가능성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유준하 동화약품 대표 "베트남 법인 체질 개선, 투자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