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Watch]'문전성시' 스팩합병, 철회도 '최대'…허들 더 높아질까예심 청구 31곳 중 10곳 '고배'…미래가치 현미경 심사 기조 형성
윤진현 기자공개 2023-12-01 07:09:24
이 기사는 2023년 11월 24일 08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PO(기업공개) 허들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 합병을 통한 상장도 예외는 아니다. 올해 스팩 합병을 위한 예비심사를 통과하지 못한 채 철회를 택한 기업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올 들어 우회상장을 위한 예심 청구 건수가 소폭 늘어났다. 전략적인 코스닥 입성을 위한 선택지로 스팩 합병을 택한 기업들이 증가했단 의미다. 다만 IPO를 추진 중인 기업에 대한 심사 강화 기조가 이어지자 스팩 역시 문턱이 높아졌단 분석이 나온다.
IB업계 관계자들은 한국거래소가 스팩합병을 통한 상장도 성장성을 입증할 지표를 비롯한 근거 자료를 요구하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파두 사태로 인해 전반적인 심사 강화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미래가치 평가에 대한 현미경 심사가 이어질 것이라 내다봤다.
◇31곳 중 10곳 '철회'…역대 최대
24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올해 스팩합병 예비심사를 청구한 기업은 총 31곳이다. 해당 기업들은 전부 코스닥 입성에 도전했다. 전년(25곳)과 비교해 24% 늘어난 수준이다.
대신 철회를 택한 기업 역시 최대치를 찍었다. 기업 10곳이 한국거래소의 스팩 합병 예비심사 도중 상장 계획을 철회했다. 러셀로보틱스와 뉴온, 비에스지파트너스 등이 그 예시다.
스팩 상장 초기였던 2010년대는 심사철회 건수가 1~2건에 불과했다. 이후 점차 늘어나면서 2020년 7건으로 최대치를 찍었다. 2021년과 2022년 다시금 5건을 유지하다 이달 23일 기준 10건을 기록했다. 여기서의 철회 건수는 심사 청구일을 기준으로 한 수치다.

상황이 이렇자 심사 지연도 이어지고 있다. 올 상반기에 청구한 피아이이와 함파트너스 등의 기업은 아직 심사 승인을 받지 못했다. 이렇듯 심사를 대기 중인 기업은 총 12곳이다. 이들 기업들은 계획했던 일정을 여러차례 순연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회상장도 피할 수 없는 '현미경 심사' 기조
한국거래소 측은 스팩 상장을 추진 중인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지연 건수와 철회 건수 등도 함께 늘어나는 구조라고 봤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상장을 시도 중인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일부 스팩의 경우 심사 과정이 길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스팩합병 예심을 철회한 기업과 주관사단은 논의를 거쳐 대안책을 찾고 있다. 결국 선택지는 또 다시 스팩 상장을 시도하거나 혹은 직상장으로 선회하는 방안이 꼽힌다. 실제로 캡스톤파트너스는 스팩이 아닌 직상장으로 선회해 이달 15일 상장을 마친 바 있다.
IB업계에서는 심사 강화 기조도 한몫을 했다고 분석했다. 그간 스팩합병의 경우 추정치를 기반으로 밸류에이션을 진행하는 등의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다만 최근에는 성장성을 입증할 근거자료를 보다 꼼꼼히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기업은 예심 단계에서 합병비율을 조정하기도 했다. 피아이이(하나금융25호스팩), 제이투케이바이오(교보11호스팩) 등이 그 예다.
IB업계 관계자는 "올 들어 성장성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를 상세히 점검하고 있는 분위기"라며 "합병 비율 근거를 비롯한 요구 사항이 더욱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파두 사태로 인해 당국이 현미경 심사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이러한 분위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 포석 깐 세아윈드, RCPS 지속 발행 배경은
- [KAI 밸류업 점검]지배구조 준수율 70% '재진입' 목표, 중점개선 항목 '주주'
- [SK이노 에너지 전초기지 베트남]글로벌 재생에너지 파이프라인 2030년까지 '2배 이상' 확대
- [SK이노 에너지 전초기지 베트남]“바람만으로 20만가구 전력공급”...SK E&S 최초·최대
- [이해진의 복귀, 네이버의 큰 그림]AI 기술 내재화, 반도체까지 키운 '꿈'
- [Company Watch]일진전기, 재무 체력 키우고 신사업 ‘질주’
- [IR Briefing]삼성생명, 자본비율 감소에도 주주환원 목표 '이상 무'
- [IR Briefing]한화생명, CSM 잔액 9조 하회…연 2조 목표는 "이상무"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동양 성대규·ABL 곽희필' CEO 내정, 신한라이프 모델 따른다
- [Policy Radar]해킹 2차피해 막는다…보안책임 CEO까지 확대
윤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G화학, 달러채 대신 '해외 EB' 고수 배경은
- [Deal Story]'해외EB' 복귀 LG화학, 밴드 최하단서 모인 투심
- [케이지에이 IPO]공모자금 평택 신공장에 ‘올인’…캐파 확보 관건
- [세미파이브 IPO]조단위 기대주, '테슬라 특례' 픽한 배경은
- [세미파이브 IPO]테슬라 트랙 무게추...조단위 기대주 ‘출사표’
- [Korean Paper]주금공, 커버드본드 영토 확장…대만시장도 통했다
- [Korean Paper]외화 차입 늘리는 주금공, 포모사 커버드본드 '도전장'
- [SK엔무브 IPO]익숙한 당근책 '고배당', 서울보증보험 상장 '데자뷔'
- [케이지에이 IPO]2차전지 디스카운트 극복, 대형스팩 통해 코스닥 입성
- AI 협력 늘리는 포바이포, 이스트소프트와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