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을 움직이는 사람들]'소나무 정신' 안병덕 부회장, 오너 '3대' 보좌 비결은②42년 코오롱맨…이웅열 이어 이규호 부회장 승계까지 돕는다
박완준 기자공개 2024-04-09 07:40:39
[편집자주]
이규호 코오롱그룹 부회장이 승진 5개월 만에 4개 계열 사내이사에 이름을 올렸다. 몇 년째 공석인 회장 자리까지 단 한걸음 남았다. 다만 지난해 코오롱그룹은 줄곧 '효자노릇'을 해오던 소재 계열사 코오롱인더스트리의 실적이 급감하면서 쓴맛을 봤다. 코오롱글로벌도 마찬가지다. 건설경기 둔화로 영업이익은 10분의 1토막이 났다. 코오롱그룹은 지금껏 외형 확장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이익을 현실화해야 한다는 분위기다. 코오롱그룹의 승부수는 새 리더십이다. 이규호 코오롱그룹 부회장을 중심으로 전면에 배치된 전문가들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더벨은 올해 코오롱그룹의 성장을 주도할 리더들의 면면을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4년 04월 04일 16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안병덕 코오롱 대표이사 부회장은 그룹에서 2대 창업주인 고(故) 이동찬 전 명예회장과 오너 3세이자 최대주주인 이웅렬 명예회장을 모두 보좌했다. 이제는 4세 이규호 코오롱 부회장의 그룹 경영권 승계까지 준비하고 있다. 승계 준비의 1막인 그룹 주요 계열사의 이사회 재편은 끝마쳤지만, 2막인 지분 승계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소나무처럼 변하지 않은 복심. 안 부회장이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인사 교체 없이 오너가(家) 옆에서 보좌할 수 있었던 이유다. 특히 그룹 내에서는 아직도 '열정과 성실함이 그 누구에게 뒤지지 않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후문이다. 코오롱 입사 후 30년이 넘도록 휴가를 단 한 번도 쓴 적이 없으며, 모친상을 치르고 곧바로 다음날 업무에 복귀한 일화는 유명하다.
한번 만난 직원의 이름과 얼굴을 기억해 먼저 알아볼 정도로 주변을 잘 살피는 리더십도 장점으로 평가된다. 그는 항상 임직원들에게 "대화를 통해 만들어진 공감대는 결국 회사가 성장하는 밑거름이 된다"며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병덕 부회장, 코오롱그룹의 상징적 인물
자그마치 42년. 안 부회장이 1982년 코오롱상사로 입사해 현재까지 걸어온 시간이다. 그는 1987년부터 1998년까지 회장 비서실에서 근무하며 이동찬 코오롱 전 명예회장부터 이웅열 명예회장까지 2대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다.

특히 안 부회장은 2011년 코오롱건설 대표이사를 맡으며 그룹 계열사의 흡수합병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이 명예회장의 두터운 신임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계열사인 코오롱아이넷과 코오롱B&S 흡수합병을 결정해 건설과 무역, IT, 자동차 유통 등의 사업을 모두 영위하는 코오롱글로벌을 새로 출범시킨 내용이 골자다.
어려운 경영 과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가면서 안 부회장을 향한 이 명예회장의 신임도 깊어져 간 것으로 보인다. 이 명예회장은 아들 이규호 부회장의 그룹 경영권 승계를 위한 준비 작업까지 안 부회장에게 맡겼다.
앞서 안 부회장은 2017년 말 실시된 임원인사에서 부회장 승진과 동시에 그룹 경영에서는 한발 물러나는 모습을 보였다. 대표이사 직책을 내려놓고 그룹 대내외 업무를 조정하고 총괄하는 업무를 맡았다.
하지만 안 부회장은 2020년 말 인사를 통해 코오롱의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복귀하며 경영 전면에 다시 등장했다. 안 부회장은 지원부문을 맡아 새로운 4세 경영 체제가 안착할 때까지 이 부회장을 도울 계획이다. 전략부문을 맡은 이 부회장이 무리 없이 신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밑그림을 그려 줄 것으로 기대된다.
◇'원앤온리 위원회' 주축…그룹 승계의 숨은 조력
코오롱그룹에는 주요 계열사의 CEO들이 모두 포함된 사장단협의체가 존재한다. 이름은 원앤온리 위원회다. 원앤온리는 이 명예회장이 1996년 회장에 취임하면서 제시한 경영방침으로, '하나뿐인 최고'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원앤온리 위원회는 이 명예회장이 2018년 회사를 떠나면서 만든 조직이다. 예상치 못한 시점에 퇴임을 선언함에 따라 이 부회장을 중심으로 한 '4세 경영'으로 넘어가기 위한 일종의 과도기적 조직이라는 시각이 내부적으로 강하다. 이 부회장은 2019년 1월부터 원앤온리 위원회에 참석하고 있다.

실제 원앤온리 위원회는 2022년 '미래 투자 및 고용 전략'을 논의하고, 향후 5년간 4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투자 전략에는 첨단소재와 친환경 에너지, 제약·바이오, 미래 모빌리티 등 그룹 내 핵심 사업이 모두 포함됐다. 원앤온리 위원회가 의사결정 기구가 아닌 협의를 위한 조직이라는 설명이 무색해진 시점이다.
안 부회장은 그룹이 5년 만에 오너경영 체제로 복귀한 만큼 세대교체의 가교 구실을 맡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원앤온리 위원회는 이 부회장과 함께 그룹의 미래 먹거리가 될 신규 사업 발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올해부터 준비하는 신사업이 이 부회장의 경영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박완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기아, 전기차 목표 '내리고' 하이브리드 '올리고'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투자 부담됐나...실적 좋은데 현금흐름 4년 연속 '마이너스'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현대차그룹 '범퍼 독점'…신사업 '배터리 케이스' 낙점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승계 키워드 '내부 거래'…4세 경영도 준비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계열사 합병후 시총 '더블업'…저평가는 '여전'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송호성 사장 "HMGMA 첫 생산, 내년 중반 하이브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