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서스운용, 폴라리스쉬핑 경영권 '포기' 가닥 해진공 출자 불발로 펀딩 난항, 차입금 회수에 집중
이명관 기자공개 2024-05-31 08:23:17
이 기사는 2024년 05월 28일 16시14분 theWM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칸서스자산운용이 폴라리스쉬핑 경영권 인수 추진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간 칸서스자산운용은 3000억원 규모의 펀딩을 추진해 왔다. 폴라리스쉬핑의 대주주인 폴라에너지앤마린(이하 폴라E&M)에 빌려준 차입금을 상환하기 위해 직접 펀딩에 나섰다.다만 실질적인 속내는 경영권 확보에 있었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차입금 규모를 고려할 펀딩의 절반 정도가 폴라E&M에 증자를 통해 유입될 예정이었다. 자연스레 폴라E&M의 최대주주에 오르면서 간접적으로 폴라리스쉬핑에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구조가 된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칸서스자산운용이 폴라E&M에 빌려준 1580억원 규모의 대출에 대한 리파이낸싱 작업을 중단한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칸서스자산운용은 관련 차입금의 만기를 6개월 연장하면서 직접 리파이낸싱을 위한 펀딩을 진행해왔다.
칸서스자산운용의 목표 펀딩 규모는 3000억원 정도였다. 리파이낸싱 규모를 넘어선 규모였다. 이는 폴라E&M이 폴라리스쉬핑에 갚아야 할 계열사 대여금도 함께 상환하기 위해서였다. 폴라E&M이 폴라리스쉬핑에 갚아야 할 대여금은 720억원 정도다.
칸서스자산운용이 계열사 대여금까지 갚아주려는 이유는 폴라E&M을 통해 폴라리스쉬핑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하려는 의도가 깔렸던 것으로 보인다. 우선 리파이낸싱에 활용되는 1580억원을 제외하고 남는 1480억원은 폴라E&M에 유상증자로 유입된다. 해당 자금으로 폴라E&M은 폴라리스쉬핑에 빌린 대여금을 갚는다.
칸서스자산운용은 폴라E&M에 증자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넣으면서 자연스레 최대주주에 오르게 된다. 폴라리스쉬핑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2022년말 기준 폴라E&M의 최대주주는 김완중 회장으로 보유 지분은 50% 정도다.
다만 펀딩은 쉽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가장 확실한 뒷배이자 모기업인 HMG그룹을 설득하는 데 실패한 것으로 파악된다. 애초 HMG그룹은 폴라리스쉬핑에 대한 투자보다는 이미 투입한 자금을 빠르게 회수해 본업인 부동산에 투자하기를 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칸서스자산운용이 폴라E&M에 빌려준 1580억원 중 1000억원 가량이 HMG그룹의 자금이기도 했다.
여기에 펀딩의 '키'를 쥐고 있는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도 난항을 겪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결과적으로 앵커 투자자를 구하지 못했고, 포기 수순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앵커 투자자의 유무는 펀딩의 성패와 직결되는 이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칸서스자산운용이 펀딩을 포기하고 현재 관련 차입금 상환 정도만 바라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펀딩에 나섰을 때 무리수라는 시장의 평가가 있었는데, 결과적으로 이를 뒤집지 못했다"고 말했다.
칸서스자산운용이 리파이낸싱에서 발을 뺀 가운데 새로운 투자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칸서스자산운용으로선 해당 투자자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해당 투자자의 의사결정과 펀딩 등의 여부에 따라 최종적으로 칸서스자산운용도 대출을 상환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DS단석, 콜마와 바이오디젤 제품 5만톤 공급 계약 체결
- 프레시지, 비용 구조 개선…디지털 전환 '성과'
- 구다이글로벌, '독도토너' 서린컴퍼니 품는다
- [금통위 POLL]4월 기준금리 동결 우세…'환율·금융안정' 부담 커졌다
- [i-point]아이티센그룹-경기혁신센터, '유니콘 브릿지' 참여 기업 모집
- '체코원전 수주' 대우건설,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
- [영상/절세톡톡] 은퇴한 기업 CEO들이 찾는 곳, KB TAX솔루션부의 절세 팁은?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테마에 흔들리는 주가 '가려진 성과'
- 하나마이크론, 'SK 연결고리' 베트남 관세 예의주시
- 금감원, 상법개정안 처리 지연 정조준…민주당 책임론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