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이넥스, 와탭랩스와 전략적 업무 협약 체결 기업 수요 솔루션 제공, 신규 고객 확보 및 비즈니스 확장 계획
성상우 기자공개 2024-06-12 18:21:40
이 기사는 2024년 06월 12일 18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성이엔지의 IT 관계사인 신성이넥스가 와탭랩스와 IT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인 '와탭 솔루션' 제공 및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판매를 위한 전략적 업무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와탭랩스는 국내 최초의 서비스형(SaaS) 기반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 기업으로 꼽힌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신성이넥스는 IT 통합 모니터링으로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신규 고객 확보와 솔루션 역량 고도화를 도모한다. 와탭랩스는 신성이넥스와의 협약으로 시장과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다.
신성이넥스는 신성이엔지 용인사업장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동시에 중견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이끄는 기업이다. 수주산업 기반의 중견기업용 ERP·SRM을 직접 운영해 온 경험을 갖추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기존 사업 분야 뿐 아니라 기업에 필요한 솔루션 전반으로 비즈니스를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와탭랩스는 2015년 7월에 설립된 IT 모니터링 전문 기업이다. 2027년 아시아 1위 IT 모니터링 기업이 목표다. 서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쿠버네티스 등 IT 운영 환경의 성능과 장애를 분석하는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를 SaaS 형태로 국내 최초 서비스했다. 모니터링 솔루션 '와탭'은 어떤 운영 환경에서도 모니터링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든 서비스를 퍼블릭 Saas, 프라이빗 SaaS, 온프레미스(On-Premise)에서 각각 제공하고 있다.
이정선 신성이넥스 대표는 “이번 협약은 신성이넥스가 보유한 IT 기술력과 와탭랩스의 통합 모니터링 솔루션을 결합해 고객에게 고품질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앞으로도 고객 중심의 혁신을 지속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신성이넥스는 지난 5월 경기도 과천 지식정보타운으로 사옥을 이전하면서 신성씨에스에서 신성이넥스로 사명을 변경했다. 중견·중소기업을 위한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기업용 IT인프라 영역으로도 사업을 더욱 확대하며 기업에 필요한 다양한 솔루션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신성이엔지, 새만금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협약
- [i-point]이엠앤아이 "슈뢰딩거 AI 플랫폼 판매 확대 기대"
- [지배구조 분석]원일티엔아이 지분 절반씩 가져간 두 아들, 이정빈 대표 ‘캐스팅 보트’
- [i-point]아이씨티케이, PQC 보안 솔루션 3종 출시
- [Company Watch]‘동물실험 폐지 수혜’ 바이오솔루션, 국내 유일 ‘국제 인증’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Red & Blue]'삼성전자 파트너' 미래반도체, 관세 유예 소식에 '활짝'
- [i-point]해성옵틱스, 삼성전기 ‘2025 상생협력데이’ 품질혁신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