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글라스는 지금]'현금 곳간' 다시 채운다…회사채로 '유동성 확보'②현금성자산 최근 5년 내 최대치…2년 만에 회사채 시장 복귀
박완준 기자공개 2024-09-09 11:15:12
[편집자주]
KCC글라스의 첫 해외 생산기지인 인도네시아 공장이 양산까지 한 달 남았다. 매년 상승세를 탄 매출액과 달리 감소 국면에 처한 영업이익을 반등시킬 수 있는 열쇠로 평가된다. KCC글라스는 향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중동 시장 등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KCC글라스는 공장 양산을 앞두고 어떻게 미래를 대비하고 있을까. 더벨이 KCC글라스의 현황과 포트폴리오, 재무 상황 등을 살펴보고 미래를 조망해 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9월 04일 15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금성자산은 기업의 재무 안전성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 큰 거래비용 없이 확정된 금액의 현금 전환이 쉽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적은 자산으로 평가되며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도 자금 확보에 용이하기 때문이다.KCC글라스도 재무 체력을 키우기 위해 현금 늘리기에 재시동을 걸었다. 첫 해외 생산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2021년부터 투자한 인도네시아 공장의 양산을 앞두고 줄어든 현금 곳간을 다시 채우는 모습이다. 현금성자산 확보에 주력하며 유동성을 강화해 위기 대응능력을 확보하는 내용이 골자다.

올 상반기 말 기준 KCC글라스의 현금성자산은 4176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3314억원 대비 862억원 늘어났다. 단기간에 많은 현금성자산을 확보하며 위기 대응능력을 강화해 탄탄한 재무 체력을 만들었다는 평가다.
최근 5년 KCC글라스의 현금성자산 보유량 변화를 살펴보면 2020년 3808억원에서 2022년 4143억원으로 늘어났다가 지난해 3314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인도네시아 공장 착공 초기에는 외부 차입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했고, 지난해는 현금성자산을 조달해 재무건전성 재고에 집중했다.
실제 KCC글라스의 총차입금은 2021년 1598억원에서 2022년 3687억원으로 급증했다. 단기차입금, 사채 등이 큰 폭으로 늘었다. 이 기간 단기차입금은 587억원에서 1455억원으로 3배 가까이, 사채는 200억원에서 2196억원으로 10배 이상 각각 증가했다. 지난해 2000억원 규모의 사채 발행 결과로 해당 자금은 기존 채무상환 및 운영자금에 사용됐다.
늘어난 차입금에 KCC글라스의 재무 부담은 커졌다. 설립 2년(2020~2021년) 동안 30%대 수준이던 부채비율이 2022년 말 50.7%까지 상승했으며, 차입금의존도도 처음으로 두 자릿수대(16.7%)로 올라갔다. 이에 KCC글라스의 이자·법인세 비용은 1년 만에 294억원 늘어난 556억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지난해를 기점으로 재무 전략에 변화가 생겼다. KCC글라스는 보유한 현금성자산을 활용해 차입금을 상환하며 이자부담을 낮추고, 경영활동 자금을 조달했다. 이에 KCC글라스의 총차입금은 2022년 3687억원에서 지난해 말 2304억원으로 줄어들었다.
단기차입금 1378억원과 사채 200억원을 상환한 영향이다. 이에 지난해 말 기준 KCC글라스의 부채비율은 40.5%로 대폭 낮아졌다. 차입금의존도도 11%로 떨어졌다. 반면 현금성자산은 829억원 줄어든 3314억원으로 집계됐다.
KCC글라스는 올해부터 줄어든 현금 곳간을 다시 채우고 있다. 자금 수혈은 회사채 발행을 택했다. KCC글라스는 'AA-, 안정적' 신용등급을 보유한 탓에 낮은 금리로 회사채를 발행할 수 있어 2년 만에 시장에 복귀했다.
KCC글라스 올 6월 만기구조 2년물과 3년물 15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KCC글라스는 수요예측에서 9450억원의 매수 주문을 받으며 흥행에 성공했다. 개별 민평금리 대비 -30~+30bp(1bp=0.01%포인트) 금리를 제시해 2년물은 -7bp, 3년물은 -12bp에 목표액을 채웠다.
그럼에도 재무건전성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KCC글라스의 지난해 '순차입금/상각전영업이익(EBITDA)' 지표는 0.4배로 집계됐다. 통상 순차입금/EBITDA 지표가 1배 미만일 경우 신용등급 상향 가능성이 확대되는 등 안정적인 재무로 평가받는다. 올 상반기 말 기준 KCC글라스의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도 각각 53.6%, 16.6% 수준을 유지했다.
KCC글라스 관계자는 "발행된 회사채는 인도네시아 법인의 생산설비와 현지 인력 채용 등 추가적인 자금 수혈에 사용될 계획"이라며 "늘어난 현금성자산은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 대응하는 데 투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양학원 급한불 끈다…OK금융서 450억 주담대 실행
- 한양증권 매각, 차입 상환 압박 속 대체 카드는
- CJ프레시웨이, '효율화 방점' 프레시원 합병 결정
- [i-point]한컴,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 참가
- [NPL 경영분석]800억 환입에 순익 4배…대신F&I, '나인원한남 효과'로 도약
- [보험사 CSM 점검]메리츠화재, 보수적 계리정책이 견인한 잔액 증가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PF 후폭풍' 신협중앙회, 위기대응 역량 '시험대'
- 우리금융캐피탈, 디지털 영업 경쟁력 강화 사업 착수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NH농협생명, 경과조치·보완자본 뺀 손실흡수력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박완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차그룹, 적자 포티투닷 '美 드론 자회사' 청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자산 2조 넘어서자 이사회 '확' 바꿨다
-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5' 라인 두달만에 또 '스톱'
- 현대차그룹, '트럼프 맨' 하원의원 영입…대미 창구 강화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美 관세에 '주가 요동'…PBR 0.26배 '역대 최저'
- 기아, 전기차 목표 '내리고' 하이브리드 '올리고'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투자 부담됐나...실적 좋은데 현금흐름 4년 연속 '마이너스'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현대차그룹 '범퍼 독점'…신사업 '배터리 케이스' 낙점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