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이사회 평가]LGU+, 이사회 강점 '소통' 주가 하락 보완 '배당'[Strength]②이사회 구성원 참여도 높아…주주 정보접근 허들도 낮은 편
노윤주 기자공개 2024-10-17 08:27:18
[편집자주]
기업 지배구조의 핵심인 이사회. 회사의 주인인 주주들의 대행자 역할을 맡은 등기이사들의 모임이자 기업의 주요 의사를 결정하는 합의기구다. 이곳은 경영실적 향상과 기업 및 주주가치를 제고하고 준법과 윤리를 준수하는 의무를 가졌다. 따라서 그들이 제대로 된 구성을 갖췄는지, 이사를 투명하게 뽑는지, 운영은 제대로 하는지 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이사회 활동을 제3자 등에게 평가 받고 공개하며 투명성을 제고하는 기업문화가 아직 정착되지 않았다. 이에 THE CFO는 대형 법무법인과 지배구조 전문가들의 고견을 받아 독자적인 평가 툴을 만들고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해 봤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14일 09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유플러스 이사회는 참여도, 정보접근성 두 카테고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사회와 감사위원회 개최 빈도를 제외하면 크게 흠잡을 부분이 없다는 평가다. 기업 지배구조, 이사회 활동 내역도 홈페이지와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보기 쉽게 제공 중이다.5점 만점 환산 시 두 카테고리서는 모두 4점이 넘는 점수를 받았다. 이를 통해 LGU+는 투자자와 소통에 강점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유의미한 매출 성장이 불가능한 통신사업자의 단점을 주주환원, 소통 등으로 보완해 나가는 중이다.
◇활발한 재무위원회, 이사회 참여 점수 상승에 기여
THE CFO는 자체 평가 툴을 제작해 '2024 이사회 평가'를 실시했다. 지난 5월 발표된 기업지배구조보고서와 2023년 사업보고서, 2024년 1분기 보고서 등을 기준으로 삼았다. 6대 공통지표(△구성 △참여도 △견제기능△정보접근성 △평가 개선 프로세스 △경영성과)로 LGU+ 이사회 운영 및 활동을 분석한 결과 255점 만점에 163점으로 산출됐다.
LGU+는 이사회에 대한 6가지 공통지표 중 참여도 카테고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5점 만점에 4.3점을 기록했다. 정보접근성도 4.2점으로 두 번째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경영성과(1.5점)로 인해 낮아질 뻔한 평균점(3.4점)을 두 카테고리가 끌어올렸다.

참여도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40점 만점에 34점을 받았다. 이 카테고리에서는 이사회 활성화 정도, 사외이사 교육, 이사회 구성원의 참여 등을 평가한다.
LGU+는 2023년 총 8번의 이사회를 개최했다. 이에 이사회 개최 빈도수 항목에서 중간 점수인 3점을 받았다. 사외이사 풀 관리 항목에서는 최고점인 5점을 받았다. 연간 2회 이상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개최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되었다.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의무설치 소위원회를 제외한 기타 위원회 활동도 원활한 편이다. LGU+는 재무위원회, ESG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등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이들 위원회의 활동은 총 13회로 매우 활발했다.
통신사는 단말기 할부금을 채권화해 자금을 유동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특성에 따라 LGU+ 재무위원회 활동도 활발했다. 작년 총 8회 위원회 회의를 열고 단말기 할부 채권 양도, 무보증사채 발행 등의 안건을 처리했다.
ESG위원회는 2023년 두 차례만 개최됐지만 다양한 보고 의안을 논의했다. ESG 이니셔티브 가입 추진 현황, 온실가스 대응 계획 등을 다뤘다. 고객과 밀접히 맞닿아 있는 기업 특성을 반영해 소비자 이용 중 불만 관리 등에 대한 내용도 논의했다.
◇준수한 주주환원 정책, 다양한 경로로 정보 공개
LGU+는 정보접근성 카테고리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30점 만점에 25점을 기록했다. 본래는 35점 만점이지만 LGU+는 이사회 의안 반대 사례가 없음으로 이사회 의안반대 사유 공개 문항은 모수에서 제외했다.
이사회의 의정 내용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DART)와 홈페이지 두 개 통로로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 정보를 찾기 쉽게 노출해 뒀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두 항목 모두 최고점인 5점을 받았다.

꾸준한 주주환원 정책도 평가에 기여했다. LGU+는 3개년 주주환원정책을 수립해 이어가고 있다. 올해도 2026년까지 이어지는 정책을 밝힌 바 있다. 별도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40% 이상을 주주에게 환원할 계획이다. 연간 현금 배당금은 최소 2023년도 주당 배당금인 650원 수준을 유지한다. LGU+는 연 2회 중간, 결산 배당을 추진하고 있다.
물론 완벽하지는 않았다. 감사위원회 개최 회수가 작년 6차에 불과해 중간점수인 3점을 받았다. 이사진 교육 회수도 2회에 그쳤다. 엄윤미 사외이사 대상 신임 이사 대상 교육과 LG사업현황 등을 소개하는 교육과 사외이사 전원 대상 회사 리스크관리, 개인정보보호 교육을 시행했다.
정보공개 부분에서도 최고점을 받지 못한 항목들이 있었다.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공시한 이사회 회의 관련 사안이 구체적이지 않고 간략하게만 설명돼 있었다. 가능한 많은 경로로 정보를 제공하려 하나 디테일에서 부족함이 있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스퀘어의 새판짜기]'2대주주 위치' 코빗·온마인드, 올해는 매각 성사될까
- [SK스퀘어의 새판짜기]SK플래닛, 수익성 위해 OK캐쉬백만 남긴다
- [SK스퀘어의 새판짜기]'흑자' 인크로스, 계열사와 다른 '사업 확장' 노선
- [Company Watch]'적자 축소' 코인원, 점유율 확대 속도 더하기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음악회사' 거듭난 드림어스, 손익개선·주가부양책 '고심'
- '진짜 대표'가 된 빗썸 이재원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원스토어, 저수익 사업 정리 '끝'…해외매출 공략
- [Company Watch]코빗, 코인 투자 덕 '순이익 흑자' 베팅전략 성공
- [SK스퀘어의 새판짜기]'스퀘어 임원' 이헌 대표, 티빙과 합병 완수 미션
- [SK스퀘어의 새판짜기]티맵 이사회, '밸류업' 전문가 구성…IPO 성공 밑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