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표준 된 내부통제위, 윤리경영실로 한발 더 나갔다②금융사 유일 '산하 조직' 설립…'검사 출신' 실장 임명, 독립성 보장에 초점
최필우 기자공개 2025-02-21 12:49:50
[편집자주]
우리금융 전임 회장 친인척 부정 대출이 수면 위로 드러난 지 반년이 지났다. 금융 당국이 관련 검사 수위를 높이고 대대적인 개혁을 요구하면서 은행권 전반에 경종을 울리는 사건이 됐다. 쇄신 선두에 서게 된 우리금융의 행보에 따라 은행권 내부통제 기준이 다시 세워지는 셈이다. 임종룡 회장을 필두로 우리금융은 반년간 어떤 노력을 기울여왔을까. 우리금융이 리뉴얼한 내부통제 시스템과 이정표를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9일 07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이 이사회 산하 소위원회로 윤리내부통제위원회를 신설하며 지배구조를 개선한다. 윤리내부통제위 신설은 임종룡 회장이 이행을 약속한 쇄신안 중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과제다. 우리금융은 다음달 정기 주주총회에서 소위원회 신설 안건을 통과시켜 내부통제 시스템 개편 마지막 퍼즐을 맞춘다.다른 금융사도 내부통제위 신설을 공언한 가운데 우리금융은 한발 더 나아가 일찌감치 산하 조직을 신설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말 조직 개편을 통해 윤리경영실을 신설하고 검사 출신 실장을 영입했다. 위원회를 사외이사로만 구성해 독립성을 담보하고 산하 조직을 통해 실질적인 통제 권한을 부여하는 게 개편의 핵심이다.
◇'윤리내부통제위→감사위' 내부통제 프로세스 완성
우리금융은 다음달 열릴 정기 주총에서 윤리내부통제위를 신설할 예정이다. 현재 △임원후보추천위원회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ESG경영위원회 △리스크관리위원회 △감사위원회 등 6곳에 윤리내부통제위가 추가되면 총 7개로 위원회가 늘어난다.

윤리내부통제위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는 임 회장이 지난해 10월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여해 약속한 내용이다. 내부 인사들은 물론 지주 회장까지 개입이 불가능한 형태로 위원회를 구성해 독립성을 보장하는 차원이다.
현재 감사위 산하에 있는 윤리경영실이 윤리내부통제위 산하로 편제된다. 금융사 지배구조법 개정 후 내부통제위 신설을 약속한 곳은 다수지만 산하 조직을 미리 신설해둔 곳은 우리금융 뿐이다. 지배구조법을 충족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윤리내부통제위에 실질적인 권한을 부여하려는 임 회장의 의도가 반영됐다.
소위원회가 정비된 이후 윤리경영실은 사고 예방 차원의 내부통제에 초점을 맞춘다. 지난달 시행된 임원 친인척 정보 등록 시스템을 통해 부정 대출 발생 여부를 점검하는 것은 물론 루머 수준의 임직원 관련 정보를 입수해도 조사에 착수할 수 있다.
윤리경영실의 조사로 부정 행위가 확인되면 감사위 산하 감사부문이 나서 사후 조치에 나선다. 징계와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이 감사부문의 주된 역할이다. 조사부터 감사에 이르기까지 이사회가 권한을 갖는 내부통제 프로세스가 완성되는 셈이다.
◇변호사·공직자 등 면접…임종룡 회장의 선택은 '검사 출신'

이동수 윤리경영실장(사진)이 내부통제를 지휘한다. 이 실장은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출신으로 2001년 사법연수원을 수료하며 법조인이 됐다. 서울중앙지검 조사1부장, 의정부지검 차장 검사 등을 지낸 검사 출신 법조인이다. 검사 출신이 금융사 사외이사로 영입되는 경우는 종종 있었으나 실무 조직 수장으로 합류한 건 이례적이다.
우리금융은 윤리경영실장 외부 영입 원칙을 세우고 헤드헌팅 업체 추천과 면접을 통해 복수의 후보를 검토한 것으로 전해진다. 변호사, 공직자 등 다양한 이력을 가진 인사들을 검토한 끝에 임 회장과 이사회는 검사 출신인 이 실장을 낙점했다. 반복되는 금융사고를 끊어내려면 검찰 눈높이에 맞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봤다. 검찰 경험을 바탕으로 강도 높은 조사 체계를 구축하는 게 이 실장의 과제로 남아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미술품 증권신고서 분석]아티피오, 투자증권 정정 후 통과…핵심은 '배당소득세'
- [i-point]소룩스 "주가하락 반대매매 탓, 임상·합병 추진 계속"
- 파인밸류운용 꽂힌 PGT…2차전지 리튬염 생산 본격화
- [i-point]아이티센 "금 품귀 현상, 조각투자·개인거래 등 대안 주목"
- 무뇨스 현대차 사장, 첫 타운홀 미팅…'3H 청사진' 의미는
- '현대엔지 시공' 신광교 클라우드시티 '반도체 수요 겨냥'
- 에스이인터, ‘젤라또피케’ 브랜드 안착…사업 다각화 순항
- [에이유브랜즈 IPO]무신사 플랫폼 동반성장, 브랜드 발굴 '성공작' 나올까
- [주주총회 프리뷰]주주서한 받은 농심, '기업가치 정상화' 요구 배경은
- [Company Watch]현대지에프홀딩스, 재무 청사진 '순차입금 20% 감축'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BNK금융, 달라진 자본운영 방침에 CET1비율 '신바람'
- [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표준 된 내부통제위, 윤리경영실로 한발 더 나갔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방성빈 행장·김성주 대표 연임, 회장 후계 구도 짜여졌다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BNK금융, 빈대인 회장 '주주친화 행보' 통했다
- [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부정대출 사태 반년, '내부통제 기준' 다시 세운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신용정보 대표에 경남은행 출신, 빈대인 회장 '탕평 인사'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하나금융, 빛발한 'RoRWA' 중심 관리 체계
- 김태한 경남은행 부행장보, 승진 2달 만에 행장 선임 '파격'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우리금융, 동양생명 인수에 달린 주가 레벨업 가능성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하나금융, '배당 확대→자사주 소각' 환원 중심축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