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흔들렸던 지배구조 안정 되찾는다 '경영진 책임' 강조한 이복현 원장 "임종룡 회장 임기 채워야"…은행장 교체로 일단락
최필우 기자공개 2025-02-24 12:41:15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9일 15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우리금융이 전임 회장 친인척 부정 대출 사태로 흔들렸던 지배구조 안정을 되찾는다. 사태가 불거진 뒤 줄곧 현 경영진 책임을 강조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에게 임기를 채울 것을 주문하면서다. 임 회장도 책임을 피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었으나 앞서 우리은행장 교체를 끝으로 거버넌스 변화가 일단락 되는 수순이다.임 회장은 앞서 제시한 쇄신안을 남은 임기 1년 동안 이행할 수 있게 됐다. 올초 취임한 정진완 우리은행장도 지배구조 변화를 의식하지 않고 경영 활동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됐다. 정기검사 과정에서 지적받은 내부통제 시스템을 정비하고 자본비율을 개선하는 게 현 경영진의 과제로 남았다.
◇'경영진 책임' 논란 일단락 수순
19일 이 원장은 "우리은행 내 현실적으로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종룡 회장이 갑자기 빠지게 되면 거버넌스 관련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임 회장이 (사태를) 정리해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고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며 "회장이나 은행장 입장에서 본인들이 직을 걸고 체질 개선과 환골탈태를 이끌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우리금융 전임 회장 친인척 부정 대출 사태가 불거진 이후 이어졌던 이 원장의 워딩을 고려하면 유화적인 제스쳐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 원장은 부정 대출이 수면 위로 드러난 지 2주 만인 지난해 8월 25일 한 방송에 출연해 "명확하게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한다"며 우리금융 경영진을 겨냥했다. 임 회장과 당시 재직 중이었던 조병규 전 우리은행장을 염두에 둔 코멘트로 우리금융은 받아들였다.
이후에도 이 원장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발언 수위를 높였다. 경영진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했고 결국 조 전 행장은 지난해 11월 26일 용퇴를 결정했다. 지난해 우리은행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하는 등 호실적을 냈음에도 부정 대출 사태 파장을 피하지 못하고 임기를 연장하지 못했다.
조 전 행장 용퇴 후에도 이 원장의 공세는 멈추지 않았다. 그는 우리금융 자회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한창이었던 2024년 11월 28일 "우리금융 현 회장, 현 행장 재임시에도 유사한 불법 거래가 확인됐다"며 임 회장을 겨냥했다. 조 전 행장 용퇴 이틀 만에 임 회장의 책임을 재차 강조하면서 우리금융 거버넌스 위기가 지속됐다.
금감원의 우리금융 정기검사 결과 발표 과정에선 위기감이 한층 고조됐다. 지난해 12월 20일 이 원장은 우리금융에 대한 검사 결과가 '매운 맛'일 것이라 예고했다. 지난 2월 4일 정기검사 결고 발표에서는 논란 당사자인 전임 회장 뿐만 아니라 부정 대출을 통제하지 못한 현 경영진에도 책임이 있음을 거듭 강조했다.
이 원장이 돌연 임 회장이 임기를 채워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건 출구 전략을 마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현재 마무리 단계인 경영실태평가, 우리금융의 동양생명 인수 승인 심사 등 현안과 임 회장의 거취 문제를 분리하겠다는 것이다. 경영실태평가와 M&A 승인 건은 엄정하게 처리하돼 사태 수습은 임 회장이 주도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내부통제 시스템 가동·자본비율 개선 과제
임 회장은 부정 대출 사태에서 정면 돌파를 선택한 끝에 CEO 리스크를 탈피할 수 있게 됐다. 그는 지난해 8월 12일 긴급 임원회의에서 "조사와 수사 결과를 겸허하게 따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10월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질 것"이라며 결연한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임 회장과 정 행장은 우리금융 정상화 작업에 박차를 가한다. 윤리경영실 신설, 임원 친인척 정보 등록 시스템 가동, 그룹 윤리문화진단 시행 등 내부통제 강화를 위한 쇄신안 이행에 한창이다. 올해 새로운 시스템을 안착시키고 그룹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조직 문화 전반을 개선하는 게 임 회장의 최우선 과제다.
자본비율 개선에도 주안점을 두고 있다. 지난해 우리은행은 기업대출 잔액 증가 드라이브를 걸면서 자본비율 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4분기 위험가중자산(RWA)을 줄이기 위한 자산 리밸런싱 노력으로 보통주자본(CET1)비율 소폭 개선에 성공했다. 금감원이 정기검사 과정에서 자본비율 관리와 관련해 문제를 삼은 만큼 추가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배당정책 리뷰]대한제분, 이례적 배당 확대…짠물배당 변화 오나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블록체인 진출' 알티캐스트, 비핵심자산 매각 결정
-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지분 매각방식 이견, 최대 이슈 '지배구조'
- [트럼프발 관세전쟁 대응전략]미국 불확실성 확대...SKC 앱솔릭스 '비즈이노' 충원
- [삼표그룹 사업구조 다각화]대표 선임 키워드 지주사 '재무' 신사업 '전문성'
- [금호석유화학 밸류업 점검]연이은 주주환원책 강화에 '조카의 난' 사실상 종결
- [CFO Change]SK가스, 신임 재무실장에 최이룩…재무 체력회복 '중책'
- [엘앤에프 재무 진단]피드백 수용한 엘앤에프, IR자료 정정했다
- [i-point]노을, 첫 대규모 공공 조달 계약 체결
- [i-point]한컴, 2024년 매출액 두자릿수 성장… 클라우드 258%↑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흔들렸던 지배구조 안정 되찾는다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BNK금융, 달라진 자본운영 방침에 CET1비율 '신바람'
- [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표준 된 내부통제위, 윤리경영실로 한발 더 나갔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방성빈 행장·김성주 대표 연임, 회장 후계 구도 짜여졌다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BNK금융, 빈대인 회장 '주주친화 행보' 통했다
- [우리금융 내부통제 리뉴얼]부정대출 사태 반년, '내부통제 기준' 다시 세운다
- [BNK금융 인사 풍향계]신용정보 대표에 경남은행 출신, 빈대인 회장 '탕평 인사'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하나금융, 빛발한 'RoRWA' 중심 관리 체계
- 김태한 경남은행 부행장보, 승진 2달 만에 행장 선임 '파격'
- [금융지주 밸류업은 지금]우리금융, 동양생명 인수에 달린 주가 레벨업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