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4월 17일 07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시중은행 광고에 보기 드문 인물이 등장했다. iM금융의 모델로 발탁된 가수 싸이가 그 주인공이다. 광고를 보면 싸이가 iM금융의 상징 컬러인 민트색 정장을 입고 모바일 뱅킹 앱이 켜진 핸드폰을 든 채 슈퍼맨처럼 우주를 날아다닌다. 코믹하고 독특한 게 잔잔하고 무게감 있는 광고를 주로 하는 기존 시중은행과는 사뭇 다르다.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iM금융은 이번 모델 기용에 특히나 심혈을 기울였다. 지난해 iM뱅크가 시중은행 전환을 마무리짓고 올해 iM금융(옛 DGB금융)이라는 사명으로 본격적인 첫해를 시작하는 만큼 새로운 이미지를 각인시켜야 했다. 많은 사람에게 'iM금융은 다르다'는 걸 알리는 게 가장 큰 목표였다.
지난 1일 광고 온에어를 한 직후 업계에서는 호평이 들려온다고 한다. 싸이 효과로 인해 iM금융이 여타 시중은행지주와는 확실히 차별화된 이미지로 다가온다는 반응이다. 대중적인 인기를 가진 가수이지만 특유의 개성 있는 음악을 고수하는 싸이의 특별함은 특색 있는 지방은행에서 전국구 기반의 시중은행으로 발돋움하는 iM뱅크의 행보와 닮은 구석이 있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iM금융은 싸이가 걸어온 행보 자체를 지향하고 있다. 싸이를 지금의 세계적인 아티스트로 만든 건 '강남스타일'의 흥행이었다. 유튜브를 통해 곡이 알려지면서 해외 무대에 서지 않고도 단숨에 글로벌 셀러브리티가 되었다. 온라인으로 먼저 파급력을 보여준 뒤 오프라인 무대에서 그 인기를 재확인하며 케이팝의 새로운 성장 모델을 개척했다.
iM금융도 마찬가지다. iM뱅크는 시중은행으로 전환했지만 똑같은 시중은행이기를 거부한다. iM뱅크가 핵심 전략으로 내세운 '뉴 하이브리드 뱅크' 모델에서 그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빠르게 고객 기반을 늘리고 오프라인 뱅킹의 강점을 활용하며 기존에는 없던 성장 모델을 만들겠다는 게 iM금융의 구상이다.
iM금융의 첫 해, 다르게 성장하겠다는 그 포부는 강렬하게 각인된 듯하다. 이제부터는 증명의 시간이다. 우선 다가오는 1분기 실적 전망이 긍정적이다. 전국 커버리지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유일무이한 시중은행이 될 iM금융의 행보를 관심 있게 지켜보겠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양학원 급한불 끈다…OK금융서 450억 주담대 실행
- 한양증권 매각, 차입 상환 압박 속 대체 카드는
- CJ프레시웨이, '효율화 방점' 프레시원 합병 결정
- [i-point]한컴,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 참가
- [NPL 경영분석]800억 환입에 순익 4배…대신F&I, '나인원한남 효과'로 도약
- [보험사 CSM 점검]메리츠화재, 보수적 계리정책이 견인한 잔액 증가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PF 후폭풍' 신협중앙회, 위기대응 역량 '시험대'
- 우리금융캐피탈, 디지털 영업 경쟁력 강화 사업 착수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NH농협생명, 경과조치·보완자본 뺀 손실흡수력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iM뱅크, 시중은행 전환 '양 보다 질'…인뱅 협업 확대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경남은행, 수출기업 지원 강화…미국 관세 타격 '촉각'
- 시중은행의 '싸이' 꿈꾸는 iM금융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토스뱅크 청사진 '글로벌·기업'…이은미 대표 진가 발휘하나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부산은행, 디지털 강화 통한 가계대출 확대...지역 한계 극복
- [금융권 AI 윤리 현주소]후발주자 지방금융 3사, AI 거버넌스 수립 공동 대응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토스뱅크, '선배' 보고 배우며 흑자전환…주담대는 글쎄
- [금통위 POLL]4월 기준금리 동결 우세…'환율·금융안정' 부담 커졌다
- [지방은행vs인뱅 구도 변화]케이뱅크, 자본력 여전히 발목…IPO 열쇠는 '기업금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