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초단기 CP 대거 발행 이유는? 만기 10일 이하 2340억원 … 2% 저금리, 금융비용 절감
이 기사는 2009년 02월 04일 09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세계가 금융비용 절감을 위해 초단기 기업어음(CP)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만기 7일 이하 CP로 수천억원의 자금을 조달하고, 2%대 저금리로 차환발행을 이어가는 재무정책을 펴고 있는 것.
신세계는 지난 2일 하루동안 10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을 CP로 조달했고, 3일(오후 3시 기준)에도 300억원 어치 이상을 발행했다. 이틀 동안 발행한 CP는 모두 만기 4일 이하 초단기물이다.
CP잔액 4840억원
일반적으로 유통업체들은 빠른 매출채권 회전율로 현금 유입이 원활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금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기 때문에 유동자산 규모가 적다. 한마디로 풍부한 현금창출력을 이용해 단기금융자산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현금 상환 능력이 충분하므로, 발행 절차가 간단한 CP를 활용하기도 한다.
3일(오후 3시 현재) 신세계의 기업어음(CP) 잔액은 4840억원. 이중 7일 이하 초단기물은 2340억원 어치로 전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신세계는 2일 975억원의 CP(1일~4일물)를 차환 발행했고, 3일 오전에도 320억원어치(1일~3일물)의 어음을 찍었다. 이후에도 4일 845억원, 5일 600억원, 6일 295억원 등 2월 한달에만 3140억원의 CP만기가 대기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연일 계속되는 대규모 CP 만기를 이유로 신세계의 유동성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신세계 유동성 위기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통업은 단기성 조달 자체로 상환 부담이 늘지는 않는다. 업종 특성상 매출액의 현금 전환이 빨라 일정 수준의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CP만기가 짧으면 신용위기에 취약해지는 것은 사실이다"면서 "그러나 역으로 생각하면 신세계가 풍부한 현금창출력과 높은 신용도를 갖추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CP를 이용해 금리 부담을 줄이는 재무정책이 가능한 것도 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성제약, 자금조달 '총력' 자사주 매각 이어 20억 유증
- 성숙기 접어든 KDDF, 지원과제 늘리고 투자유치 스퍼트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브릿지바이오 "상폐 임박? 넥스트도 지원군도 있다"
- '매출 2배 증가' 쓰리빌리언, 이사 보수한도 유지 '사업 총력'
- [i-point]FSN, 70억 유상증자 실시…주요 창업가 참여 눈길
- 더벤처스, 설립 11년 만에 첫 CIO 영입한 배경은
- [VC 투자기업]피클, 시드 60억 투자 유치…글로벌 시장 공략
- 필로소피아벤처스, 자본잠식에 중기부 옐로카드
- 에스유앤피, 상폐 가처분 신청…반전 드라마 쓸까
- [VC ERP 생태계 점검]DSC인베 '똑똑' 출항…시장 안착 가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