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09년 04월 27일 14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부의 전방위적인 대책으로 건설업 환경이 개선될 조짐이지만, 건설경기의 조기 회복을 위해서는 건설사에 대한 금융권의 신규 자금지원이 필수적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신용평가는 27일 '건설PF-봄은 오는가'라는 보고서에 통해 정부가 건설사의 유동성과 PF 문제 해결을 위해 △미분양 주택 환매조건부 매입 △미분양 투자상품에 대한 공적 보증 △부실 PF채권 매입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다고 분석했다.
그 결과 대형 건설사의 자금 상황이 호전되고 있고 부동산 경기도 반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 대주단 협약에 의해 기존 채무 및 PF 차환도 비교적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건설사에 대한 신규 자금 공급을 여전히 꺼리고 있고, 이로인해 건설사의 자금난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노익호 한신평 기업·금융평가본부 연구위원은 "실질적으로 PF관련 리스크가 거의 없는 분양률 80%가 넘는 현장도 준공 전에 일시적인 자금부족이 발생하고 있고, 100% 현장도 잔금 납입이 늦어지고 있다"며 "현재처럼 차환만 이뤄져서는 자금난이 개선될 수 없고 공사 진행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리테일 시장에서 소화된 회사채·자산유동화증권(ABS)·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은 대주단 협약에서 규정한 차환대상이 아닌 점도 부담이다. 20조원 규모로 추정되는 유동화채권은 올해 9조4000억원어치가 만기도래한다.
노 위원은 "이중 상당 부분이 리테일 시장에서 소화됐기 때문에 건설사의 자금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금융권의 신규자금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4월 들어 금융권에서 제한적으로 건설사에 자금공급을 재개하고 있다.
건설업 신용위험 평가에서 B등급을 받는 A사는 실사를 끝내고 신규 자금지원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SK건설과 삼성물산은 리먼 사태 이후 처음으로 신규 PF 약정을 체결했다. 산업은행이 BBB급 건설사의 신규 회사채 인수에 나섰고, 대형 건설사 회사채 스프레드는 줄어들고 있다.
노 위원은 "초기 분양률이 우수하면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규 분양이 호조를 보이고 금융권도 건설사에 대한 자금지원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며 "5월 수도권 분양성과가 부동산 경기 및 건설사 자금상황의 변수"라고 전했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모아데이타, 태국 AI 건강검진 분석 플랫폼 시범사업 MOU
- [i-point]케이웨더, 폭염관리용 체감온도 측정기 출시
- [엔알비 road to IPO]모듈러 교사로 올린 500억 매출, 새 먹거리 밑천
- [플랜티넷 줌인]디지털교과서 신시장, 유해물 차단 사업확대 기대
- [노머스 줌인]상장 6개월 만에 공모가 근접, 고평가 논란 해소 '변곡점'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대주주 그림자' 지우는 다보링크, 체질개선 '초읽기'
- [나우로보틱스 줌인]기술 공유·자재값 인하, 글로벌 고객사 파트너십 ‘눈길’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피에스케이그룹, 반도체 패키지 장비 외형성장 방점
- [유증&디테일]자체 자금조달 나선 비비안, 홀로서기 '드라이브'
- [파인원 raod to IPO]공모자금 과반 시설투자로, 8.6G 선점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