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0년 12월 03일 11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울-원주간 제2 영동고속도로 연내 착공이 사실상 무산됐다.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사간 지분 출자에 대한 갈등이 지속되고 있고 금융권 자금 지원도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주무관청인 국토해양부는 사업 해지 여부를 놓고 고민하게 됐다. 공공재 성격의 도로사업을 쉽사리 포기하기 힘든 상황에서 추가로 착공을 유예해줄 경우 특혜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
3일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제2영동고속도로 금융주관사인 산업은행은 연내 9000여억원을 모으려던 계획을 사실상 접었다. 지분 출자 비율을 놓고 건설주관사(CI)와 재무적투자자(FI)간 갈등으로 대주단 구성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애초 산업은행이 제시한 CI와 FI간 출자 비율은 90%와 10%였다. 하지만 금융위기 여건이 바뀌면서 CI에 100% 출자를 요구했다. 이에 대해 참여 건설사들간 협상을 진행중이나 쉽사리 결론이 나지 못하고 있다. CI로는 현대건설과 GS건설·KCC건설·코오롱건설·포스코건설 등 10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참여 건설사 한 관계자는 "CI가 모두 출자하느냐 그리고 지분 규모별로 대주단 자금에 대한 보증을 하느냐 등의 문제로 건설사간 합의가 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지분 출자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면서 대주단 구성도 자연스럽게 지연되고 있다. 주관사 산업은행도 연내 펀딩(Funding) 작업을 사실상 중단했다. 출자금액은 2681억원, 외부차입은 9234억원으로 책정돼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제2 영동고속도로 대주단 구성을 하는 게 사실상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금융약정 유예기한이 올해 말까지라는 점이다. 국토부는 올해 2월 실시계획 승인을 하면서 예외적으로 대주단 구성과 착공 시기를 올해 말까지로 유예해줬다. 원래는 실시계획 승인 전에 대주단 구성, 그리고 승인이 나면 착공을 해야한다.
때문에 올해를 넘길 경우 사업 자체가 아예 무산될 수도 있다. 국토부 역시 공식적으로 사업 해지 가능성을 언급하며 관계자들을 압박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그 때 가서 상황을 판단해야겠지만 사업 해지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지난 2006년 우선협상대상자로 현대건설이 선정됐고 2008년 5월 실시협약을 맺었다. 올해 2월25일 실시계획승인이 났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