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0년 12월 14일 14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 한 해 경매시장에서 수도권보다 지방 부동산이 강세를 보이는 역전현상이 일어났다. 경매시장의 3대지표인 낙찰율·낙찰가율·평균응찰자수에서 모두 지방 부동산 시장이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경매전문사이트 지지옥션은 14일 '2010 경매시장 3대 특징'으로 △수도권 경매진행건수 4년만에 최고 △수도권 낙찰가율 6년만에 최저 △지방과 수도권 낙찰가율 역전현상을 꼽았다.
강은 지지옥션 팀장은 "올해 부동산 경기 침체가 수도권 경매시장에도 큰 타격을 입혔다"며 "수도권 경매 낙찰가율이 올 1월부터 11개월간 70%대를 기록한 것이 이를 증명한다"고 설명했다. 낙찰가율의 80%선은 지난 2004년과 2008년의 몇 개월을 제외하고는 붕괴된 적이 없다.
올해 수도권 경매진행 건수는 8만4000건으로 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2006년이 '송달특례법'의 한시적 적용으로 금융권의 밀어내기식 경매가 쇄도하던 상황임을 볼 때, 2010년 부동산 불황이 얼마나 심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반면 지방 부동산 시장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운영되며 전국 경매 진행건수는 감소했다.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도 평균 79.2%를 나타내며 6년 사이 가장 떨어졌다. 그러나 일부 지방은 아파트 매매가가 상승하며 수도권보다 높은 낙찰가율이 나타났다. 부산과 대전은 올해 평균적으로 낙찰가율이 90%를 상회했다. 평균응찰자수도 지방이 7:1의 치열한 경쟁 끝에 낙찰이 된 반면 서울과 경기도는 5:1에 불과했다.
강 팀장은 "올해는 경매 낙찰가가 형편없이 낮았다"며 "올해 낙찰 받은 사람은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몸값 올리기' 여기어때, 하드블록 축소로 이익 키웠다
- [VC ERP 생태계 점검]시장 점유율 1위 '로고스시스템' 품은 쿼타랩은
- 적자 지속 이수건설, 3개월 이하 사모채 릴레이
- 업스테이지, 'K-AI' 수익화 도전…글로벌 펀딩 예고
- [IB 풍향계]대어급 IPO 줄줄이 출격, KB증권 독주 이어질까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미래에셋 출신 주도권, 우리은행과 화학적 결합 '관건'
- [에스엔시스 IPO]예심 청구전 이사회 완비…실적 발표후 '속전속결'
- 유진증권 기업금융본부 출범, 정통 IB '핀셋 강화'
- [스타트업 1st 감사보고서/thebell interview]"미스터아빠, 농가와 소상공인 모두에 위윈될 것"
- [GC지놈 IPO]기술특례 트랙 고려, 중립적 실적 시나리오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