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종금, 하나은행 NPL 88%에 낙찰 사상 최고 낙찰률...유암코도 1300억대 NPL매입
이 기사는 2011년 04월 22일 13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메리츠종합금융증권이 하나은행 부실채권(NPL, Non Performing Loan) 1300억원(원금기준)을 매입했다. 낙찰률은 사상 최대인 88%.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종금증권은 지난 21일 하나은행이 매각한 NPL 가운데 풀B인 일반담보부 1300억원을 매입했다. 낙찰가격은 1100억원대 안팎으로, 낙찰률은 88%다.
낙찰률 88%는 NPL 입찰 사상 최고 수준. 메리츠종금증권 관계자는 “낙찰률을 높게 쓴 것은 채권의 담보가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봤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한 투자회사 관계자도 “하나은행의 부실채권은 연체가 1~2회 정도 밖에 안된 비교적 우량한 채권”이라며 “지난해와 올해 모두 낙찰률이 높은 것은 채권이 우량한 덕분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낙찰률이 지나치게 높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난해 3월 하나은행이 매각한 NPL은 연합자산관리(UAMCO)가 80%대 중반에 가져갔다. 하나은행이 희망한 낙찰률 70%를 크게 웃돌아 고가 낙찰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한 회계법인 관계자는 “지난해 초반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매입경쟁이 과열돼 낙찰률이 87%까지 나와서 고가낙찰이란 평가를 받았다”며 “88%수준의 낙찰률이라면 부실채권(NPL)이 아니라 채권(PL)매각이나 다름 없는 수준이다”고 말했다.
연합자산관리(UAMCO, 유암코)와 우리F&I가 독식하던 시장에서 존재감을 보이고자 높게 써냈다는 평가도 뒤따른다. 지난해 시장물량 68%를 매입한 두 기관의 틈바구니에서 실적을 쌓고자 경쟁적으로 높은 낙찰률을 써냈다는 것이다. 메리츠종금증권은 올해 초 동양종금증권에서 담당인력을 스카웃해 NPL 팀을 꾸렸다. 이번 NPL매입은 팀의 첫 실적이다.
한편 하나은행은 NPL을 풀 3개로 나눠 매각했다. 일반담보부채권 원금기준(OPB) 1300억원대의 풀B는 메리츠종금증권이 매입했다. 649억원대의 특별채권 풀A와 678억원대의 일반담보부채권 풀C는 유암코에 낙찰됐다. 풀A 입찰에 8개 기관, 풀B에 6개기관, 풀C에 11개 기관이 참여했다.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애경그룹 골프장 이어 모태사업 매각까지?
- [영상] 네이버, 컬리 지분 10%가량 인수 검토하는 배경은
- '몸값 올리기' 여기어때, 하드블록 축소로 이익 키웠다
- [VC ERP 생태계 점검]시장 점유율 1위 '로고스시스템' 품은 쿼타랩은
- 적자 지속 이수건설, 3개월 이하 사모채 릴레이
- 업스테이지, 'K-AI' 수익화 도전…글로벌 펀딩 예고
- [IB 풍향계]대어급 IPO 줄줄이 출격, KB증권 독주 이어질까
- [우리투자증권 부활 나래]미래에셋 출신 주도권, 우리은행과 화학적 결합 '관건'
- [에스엔시스 IPO]예심 청구전 이사회 완비…실적 발표후 '속전속결'
- 유진증권 기업금융본부 출범, 정통 IB '핀셋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