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엔플러스, 리사이클 기술로 양극활물질 개발 전구체 재활용 NCM 811 생산, 2차전지 배터리 주행거리 개선 효과 기대
신상윤 기자공개 2023-01-30 14:17:41
이 기사는 2023년 01월 30일 14:1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가증권 상장사 이엔플러스는 전구체 리사이클 기술로 양극활물질 'NCM 811'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NCM 811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함량이 각각 8:1:1 비율로 포함됐다.NCM 양극재를 활용한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배터리 3사가 주력하는 2차전지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엔플러스는 이번에 개발한 양극활물질로 테스트 목적의 샘플용 2차전지를 만들었다.
자체 테스트를 진행해 국내 대기업들의 2차전지와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확인했다. 대기업에서 생산한 2차전지는 1차 충·방전 테스트에서 평균 201.9mAh/g 방전 용량을 기록했다. 이엔플러스 제품은 비슷한 수준인 204.4mAh/g 방전 용량이 측정됐다.
이로써 이엔플러스는 지난해 11월 리튬·인산·철(LFP) 개발에 이어 NCM 개발로 양극재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2차전지 리사이클 기반의 신규 사업도 추진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리사이클 원료를 활용하면 수입 의존을 낮출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개선된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에도 적용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IRA 대응을 위해 원료 확보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확보에 나선 상황이다.
이엔플러스 관계자는 "리사이클 전구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개발은 지난해 양극재 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잔류 리튬 감소 등 특허 확보로 이뤄낸 성과 중 하나"라며 "제품 품질에 대한 우수성을 확인한 테스트를 바탕으로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양극재는 배터리 원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만큼 이익률 또한 우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장철혁, 합류 1년 만에 단독 대표…SM3.0 실행 '중책'
- 물적분할 반대한 SK이노 주주들, SK온 IPO 찬성할까
- 소액주주와 ‘이례적’ 직접 소통, 확 달라진 SK그룹 주총
- [이사회 분석]에쓰오일, ESG위원회 신설 2년 만에 승격
- '상폐사유 발생' 비덴트…특수관계인 거래 문제 됐다
- 위세아이텍, 한국은행 IT 통합 운영용역 사업 참여
- 제테마 사업 변곡점...CFO 교체 이어 각자대표 체제로
- 내홍 겪은 대우산업개발, 전 대표 탓에 사업보고서 '미제출'
- 대우건설, 주택건축수행단 '세대교체' 단행
- [블록체인 STO 유망주]ST 일찍 뛰어든 '서울거래비상장'…장외 시장 유통 경력 어필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코스닥 글로벌 세그먼트 점검]둔화된 성장 '이녹스첨단소재', 2차전지 고민 깊어졌다
- 폴라리스오피스, 모바일 백신 '브이가드 시큐원' 출시
- MMORPG 개발 앤유, 벨라토레스 브랜드 사이트 오픈
- 전선규 회장이 2층에서 뛰어내린 이유
- [미코그룹 길 잃은 크로스보더 딜]암초 만난 바이오 확장, 2세 경영수업 계획도 차질
- 세토피아 "사업다각화 성과 잇도록 노력할 것"
- 위지윅스튜디오, 아티스트 'AI 트윈' 밸류체인 구축
- [미코그룹 길 잃은 크로스보더 딜]감사보고서 제출 지연, '트리니티 바이오테크' 탓 풀이
- 이엔플러스, '2차전지 주역' 강태경 각자 대표 선임
- 디에이테크, 2차전지 훈풍 속 수주 행렬 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