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펀드 문화 계정 1차 예산, 중기부 계정 첫 '역전' 7개 분야에 2475억 배정, 15~18개 GP 선발
양용비 기자공개 2023-02-03 07:38:47
이 기사는 2023년 02월 01일 14:39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모태펀드가 1차 정시출자 사업에서 문화 계정에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계정보다 많은 예산을 배정했다. 1차 정시출자 사업의 문화 계정 예산이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계정 예산을 초과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한국벤처투자는 지난달 31일 모태펀드 2023년 1차 정시출자 사업 문화계정의 위탁운용사 모집을 시작했다. 모태펀드가 이번 문화계정 출자사업에 할당한 예산은 2475억원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1차 정시출자 사업 예산인 1835억원보다 약 640억원 많다.
모태펀드는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문화 계정 출자 사업을 1차와 2차로 나눠 진행했다. 올해는 1차에 모든 예산을 배정해 규모가 크게 불어났다.
한국벤처투자 관계자는 1일 “연간 출자 예산 총액이 아닌 단순 1차 정시출자만 비교하면 모태펀드 문화 계정이 중소벤처기업부 예산을 넘은 것이 처음”이라며 “문화 계정은 1차 정시에 2023년 출자예산을 모두 반영해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5년동안 모태펀드 1차 정시출자에서 문화 계정 예산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2019년 1080억원에서 이듬해 1460억원으로 불어난 예산은 2021년 1440억원으로 또 늘어났다. 지난해엔 1641억원이 배정됐다.
이번에 문화 계정 예산은 불어난 반면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예산이 줄어들면서 1차 정시출자 사업에서 처음으로 출자 규모가 역전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계정의 올해 총 예산은 3135억원이다. 이 가운데 1차에 1835억원, 2차에 1300억원+회수재원이 배정됐다.
연간 출자 예산으로 따지면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계정의 규모가 더 크지만 1차 출자사업 기준으로는 문화 계정의 규모가 더 큰 셈이다.

문화 계정 1차 정시출자 사업 분야는 총 7개 분야다. △K-콘텐츠IP △K-문화M&A △K-유니콘 △K-밸류 △K-문화상생 △K-문화일반 △아시아문화중심도시육성 등이다. 해당 분야에서 15~18개의 위탁운용사(GP)를 선발할 예정이다.
이번 출자 사업에선 다양한 투자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분야를 다변화했다. 문화산업 투자 저변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서다. K-콘텐츠IP, K-유니콘, K-문화M&A, K-문화일반은 신규 분야다.
올해 모태펀드 문화 계정은 회수 재원으로 손쉽게 재투자가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투자 건별로 원금 이상 회수한 경우 수익의 범위 내에서 조합원 총회를 거치지 않고 재투자가 가능하다. 다만 재투자를 포함한 총 투자규모는 약정액의 150% 이내로 제한된다.
가장 많은 예산이 배정된 분야는 K-콘텐츠IP다. 모태펀드에서 900억원을 출자한다. 제안사는 모태펀드 출자 요청액을 150억원이나 300억원 중 선택할 수 있다. 출자심의회 의결에 따라 출자금액은 달라질 수 있다.
GP는 문화콘텐츠 원천IP를 보유한 콘텐츠 벤처기업에 결성액의 6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3~6개의 GP를 선정하는 만큼 경쟁이 가장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K-문화M&A 분야에는 400억원이 배정됐다. M&A나 바이아웃 등을 위한 문화 산업 벤처기업 인수에 약정 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2개의 운용사만이 GP 타이틀을 차지할 수 있다.
K-문화상생은 문화콘텐츠 가운데 현재 소외되고 있는 영역에 투자하는 분야다. 오프라인 출판이나 오프라인 만화 콘텐츠, 저예산 게임이나 영화 등이 최근 소외되고 있는 영역이가 이에 해당한다. 2개 GP에 300억원을 출자해 500억원 이상의 자펀드를 결성하겠다는 목표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육성 분야는 일명 ‘광주펀드’로 불린다. 광주광역시가 50억원을 출자하기 때문이다. 모태펀드 예산까지 합쳐져 총 75억원이 배정됐다. GP로 선정된 운용사는 최소 200억원의 펀드를 결성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혁신성장 재정모펀드 운용사에 '성장금융·신한운용' 낙점
- 트러스톤운용, 소액주주 지지에도 태광산업 주총서 석패
- VIP운용 2호 공모펀드 ‘손실시 보수 0원’ 성과연동형
- [심폐소생 공모펀드]ETF 비히클 활용 상장 방식 주목, 유동성 확보 '핵심'
- [심폐소생 공모펀드]ETF에 빼앗긴 헤게모니, 직접 상장으로 부활 꿈꾼다
- 셀리버리 감사의견거절, 펀드 환매중단 릴레이 오나
- [인사이드 헤지펀드]'메자닌 강자' GVA운용, 비상장투자 역량 키운다
- '이래CS에 패배' 자베즈파트너스, 기업평가 방식 자충수?
- 위펀, '1000억 밸류'로 시리즈C 라운드 1차 마무리?
- 국일제지, '3.5억' 없어서 법정관리 신청했다?
양용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C ESG투자 모니터]D3쥬빌리, 임팩트 포트폴리오 80개…'기후테크' 주목
- [VC ESG투자 모니터]D3쥬빌리, 임팩트 성장지원의 핵심 'KPI 설정'
- [VC 글로벌 투자 리포트]파트너스인베스트 해외 투자, 바이오2팀 '트리오' 주도
- [VC ESG투자 모니터]D3쥬빌리, '혁신 사각지대'까지 햇빛 투자 나선다
- [thebell interview]정보람 플레이F&B 대표 "루비스카페 상륙 5년 걸려"
- 뉴욕서 핫한 브런치 '루비스카페', 한국 상륙한다
- [VC 글로벌 투자 리포트]파트너스인베, 새 기대주 '제너레이트·살리오젠·링'
- [VC 글로벌 투자 리포트]파트너스인베, 북미 얼라이언스 확대 '딜소싱 탄력'
- [VC 경영분석]TS인베스트, 혹한기 뚫고 외형확대 일등공신 '티젠'
- 김희석 전 하나대체 대표, 아가방 '자산운용사'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