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오 인수 추진' 제이커브인베, 촉박한 시한에 딜 종결 '빨간불' '속 타는' 나이스 눈높이 낮춰…거래규모 2700억, 구주+CB 매입 구조
이영호 기자공개 2023-09-20 08:29:58
이 기사는 2023년 09월 19일 14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임플란트 기업 ‘디오’ 인수에 나선 제이커브인베스트먼트(이하 제이커브)가 딜을 종결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투자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중소형 프라이빗에쿼티(PE)의 프로젝트펀드 결성 어려움은 가중된 상황이다. 이달 말까지로 잡힌 우선협상기간 내 펀드레이징을 완수하는 것이 관건이다.19일 IB업계에 따르면 디오 인수금액은 2700억원 수준이다. 구주 매입에 1800억원이 들어가고, 디오의 전환사채(CB) 900억원어치를 매입해 신규 자금을 투입하는 구조다. 이 가운데 1000억원 전후 금액은 인수금융으로 충당할 방침이다. 제이커브가 프로젝트펀드 결성을 위해 모아야 할 금액은 1000억원 후반 수준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제이커브에게 부여된 우선협상 기간은 이달 말까지라는 전언이다. 제이커브는 시장에서 펀드레이징을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전략적투자자(SI)와의 접촉도 이어가고 있다는 관측이다. 다만 우협기간이 연장될 가능성도 있다. 이를 감안하면 펀드 결성 기한은 한 차례 더 뒤로 밀릴 공산이 있다.
신생 운용사인 제이커브가 직면한 펀딩 환경은 만만찮다. 신생 플레이어에 과감하게 베팅하던 기관투자자(LP)가 사라진 상태다. 앵커 LP를 구하기가 어려워지면서 중소형 하우스의 프로젝트펀드 결성 난도는 크게 높아졌다. 프로젝트펀드에 의존해야만 하는 중소하우스 딜이 크게 줄어든 이유다.
펀드레이징 결과를 주목하는 곳은 또 있다. 매도인인 나이스투자파트너스다. 2018년 디오를 인수했고 올해로 투자 6년차에 접어들었다. 2021년부터 경영권 매각을 타진해왔지만 투자기간은 늘어지고 있다. 이번 거래가 길어질 경우 엑시트 시점이 내년으로 넘어가는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
나이스투자파트너스는 딜 종결을 위해 눈높이를 낮췄다. 앞서 거래가 불발된 세심컨소시엄과는 총 3064억원에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 중 구주 거래금액은 2294억원이었다. 또 금액이 크진 않지만 안전판 역할을 해줄 나이스그룹의 후순위 출자도 여전히 유효한 옵션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금감원-롯데손보, 후순위채 콜옵션 기싸움 본질은
- 롯데손보, 콜옵션 대응 '사모 후순위채' 완주할까
- [아이티켐 IPO]2차전지로 영토 확장, 소재사업 '확장성' 주목
- [세미파이브 IPO]관세 리스크 뚫고 해외 NDR…글로벌 기관 스킨십 '방점'
- [도우인시스 IPO]손바뀜 1년여만에 상장 결실, 2년 의무보유로 안전판
- [IB 풍향계]'토종 IB' 명맥 잇는다…KB증권 외평채 주관 '최초'
- 펫프렌즈, 실적 개선 본격화…IMM PE는 엑시트 '고심'
- '비플레인' 운영사 모먼츠컴퍼니 매각 본격화, 삼일PwC와 맞손
- '매각 절차 지연' DIG에어가스, 희망 가격 낮아지나
- VIG, 카카오모빌리티 인수금융 주선단 꾸렸다
이영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벌크선사 관세전쟁 영향 점검]관세전쟁 문제없다...팬오션, 재무체력 '탄탄'
- 박찬구 금호석화 회장, 법적분쟁 다 털어냈다
- [벌크선사 관세전쟁 영향 점검]피크 지났지만…팬오션, '스케일업' 성공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상호출자' 해제됐던 한국앤컴퍼니, 1년만에 '컴백'
- 장금상선, 글로벌 중개기업 트라피구라와 왜 손잡았나
- '해상풍력 진출' HSG성동조선, 1137억 투자유치 성공
- 폴라리스쉬핑, 성장에 방점 찍었다 '선대 확장'
- [새 주인 찾는 SK해운]매각 앞두고 개선된 재무체력
- [새 주인 찾는 SK해운]금융비용 상승 '공격적 신조' 도입 결과
- [Sanction Radar]대관라인 일신 LG그룹, 상호관세 극복 '특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