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운용, 국민연금 코어플랫폼펀드 출자사업 '참전' 내주 공고 예상, 협업 경험 풍부 '경쟁력'
구혜린 기자공개 2024-11-25 08:32:18
이 기사는 2024년 11월 19일 09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자산운용이 7500억원 규모 국민연금 부동산 출자사업에 참여한다. 조만간 공고를 앞둔 코어플랫폼(Core-Platform) 분야로 오피스와 뉴이코노미 섹터 실물 부동산에 투자하는 펀드다. KB자산운용은 과거 위탁운용사 선정 경험이 있고 인프라 투자 등에서 국민연금과 협력 경험이 많기에 경쟁률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KB자산운용은 국민연금 부동산 블라인드펀드 출자사업(코어플랫폼 부문) 제안서 제출을 위해 준비 중이다. 업계에서는 국민연금이 이달 22일부터 29일 사이에 사업자선정공고를 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내달까지 한 달여간의 제안서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당초 KB자산운용은 대출(Dept) 펀드 출자사업에 지원할 계획이었다. 다만 타 기관으로부터 출자를 받은 펀드보다 국민연금 펀드를 앞서 소진해야 한다는 '경업 금지' 조항에 따라 코어플랫폼으로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전해진다. KB자산운용은 올해 교직원공제회로부터 출자를 받아 대출 펀드를 결성했다.
최근 부동산 블라인드 펀드 조성이 어려워지자 KB자산운용도 참여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KB자산운용이 국민연금 부동산 펀드 위탁운용을 맡은 건 2006년 한 번뿐이었다. 국민연금이 부동산 출자사업을 매해 마다 진행하지는 않았으나, 2006년 이후로는 적극적으로 지원하지도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KB운용은 장기간 국민연금과 손발을 맞춘 것을 내세울 계획이다. 그간 국민연금은 KB자산운용이 사회간접자본에 투자하는 펀드에 출자자로 여러차례 참여한 것으로 파악된다. KB자산운용은 2006년 기관 출자를 받아 'KB발해인프라펀드'를 설정, 재원을 모두 소진한 이후 프로젝트펀드를 설정해 인프라 투자를 지속해왔다.
올해 준수한 실물 부동산 엑시트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공모펀드인 'KB와이즈스타부동산투자신탁3호'를 통해 보유하던 서울 중구 다동 소재 오피스인 센터플레이스를 최근 HL리츠운용에 매각 완료했다. KB자산운용이 인수할 당시 가격은 2182억원이었으며 2513억원에 매각해 IRR 7% 이상을 달성했다.
경업 금지 조항에서도 자유로울 전망이다. 현재 투자 여력이 남은 실물 부동산 블라인드펀드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민연금은 2011년 코어플랫폼 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과정에서도 본 펀드를 우선시 하라는 경업 금지 조항을 내걸었다. 앞서 대출펀드 분야에서는 해당 요건 때문에 지원율이 다소 떨어지기도 했다.
'뉴이코노미' 제안은 어떤 내용으로 채울지 관심이다. 코어플랫폼 펀드는 오피스, 호텔 등 실물 부동산에 70%, 뉴이코노미 섹터에 30% 이상 의무 투자하도록 만든 펀드다.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도심형 물류센터, 셀프스토리지(Self-Storage) 등 트랙레코드가 있는 운용사가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번 사업은 국민연금은 5년 만에 재개한 부동산 출자다. 대출펀드와 코어플랫폼 펀드 두 분야로 나눠 진행하며 각각 6000억원, 7500억원을 안배했다. 대출펀드는 코람코자산운용과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이 위탁운용사로 최종 낙점됐다. 코어플랫폼 펀드의 경우 최대 3곳의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씨엔티테크, 서울 북서부 사옥 고수하는 '이유는'
- 반품 처리 솔루션 '케이존', 21억 시리즈A 투자유치
- [thebell League Table]크릿벤처스, 투자·회수 활발…펀드레이징 기대
- 한국앤컴퍼니, VC 설립 만지작…CVC 탄생 이어질까
- [글로벌로 진격하는 K-스타트업]'카피킬러' 무하유, AI·HR 라인업 확장…일본 집중
- 상장사 와이팜, 165억 자금 조달 추진 '딜 성사 목전'
- [thebell interview]"누아, 항공권 유통·관리를 디지털 기술로 혁신"
- [thebell interview]정동훈 테라파이 대표 “부동산 안심거래 확장하겠다”
- [thebell interview]권기성 쉐코 대표 “글로벌 해양로봇 시장 잡겠다”
- '빌리엔젤 운영' 그레닉스, 투자 하이라이트 'B2B 성장세'
구혜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사라지는 해외 TR ETF…삼성운용 선두 자리 '위협'
- 코람코 '더에셋' 브랜드 확보…시리즈 오피스 만든다
- 타임폴리오, 리브스메드 팔로우온…누적 600억 '올인'
- 안다운용 파생 '안다글로리', 물적분할 진행 '착착'
- [thebell note]라이프운용은 행동주의 운용사가 아니다
- 장외 공모펀드 ‘X클래스’ 상장, 하반기로 지연 무게
- [인사이드 헤지펀드]"LG CNS IPO 노린다"…라이프운용 하이일드펀드 설정
- '코레이트운용-공무원공단' 소송전, 10년만에 뒤집혔다
- 까다로운 타임폴리오, '1조 밸류' 리브스메드 꽂혔다
- [RISE 바이오TOP10액티브]KB운용 '바이오 액티브' 참전…"삼바보다 알테오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