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개선에 급전 필요한 동성제약, 묘수는 '자사주' 메자닌 발행 및 상환 등에 사용, '장외매각'으로 20억 마련
이기욱 기자공개 2025-02-03 08:21:19
이 기사는 2025년 01월 31일 09시20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재무구조 개선 과제를 안고 있는 동성제약이 적극적인 자사주 활용 정책을 이어가고 있다. 작년 말 자사주를 교환 대상으로 한 매자닌을 발행한데 이어 올해 초 자사주를 직접 매각하기도 했다.해당 자금은 신주인수권부사채(BW) 조기 상환 등에 사용될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남은 상환금액과 설비 투자 금액 등을 고려할 때 추가 자금이 또 필요하다. 매출 채권 관리 등이 향후 유동자산 활용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미국 기관에 50만주 매각, 작년 말 EB 발행 이어 자사주 활용
동성제약은 최근 자기주식 50만주를 총 20억6150만원에 처분했다. 1주당 처분가액은 4123원으로 전량 미국 소재 기관투자가 'Ghisallo Capital Management'에 매각했다.
50만주는 전체 주식 2610만970주의 1.9% 수준이다. 매각 후 동성제약의 자사주 보유량은 204만6909주로 전체 7.84%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동성제약은 지분율과 블록딜 거래 방식 등을 고려했을 때 자사주 매각에 따른 주가 희석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공시상 자사주 매각 목적은 '자기자본 증가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다. 동성제약 관계자는 구체적 사용 목적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지만 "공장 설비 개선 등 운영 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자금은 BW 상환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성제약은 자사주 매각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신주인수권부사채 만기전 취득 결정' 사실을 알렸다. 2023년 7월 발행한 BW 140억원 중 74억원을 이자 포함 76억원에 취득할 예정이다.
만기일은 2028년 1월이지만 당사자와 협의 후 일부 조기 상환하기로 했다. 지급예정일은 4월 17일이다.
동성제약은 최근 재무 정책에 자사주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작년 12월에는 자사주를 교환대상으로 하는 교환사채(EB)를 30억원 발행한 바 있다. 연구임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한 전략이었다.
◇작년 3분기말 현금성 자산 7억, 매출채권 관리에 달린 유동자산
20억원 자사주 매각에도 추가 자금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4월 예정된 BW 상환 금액과 50억원 이상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작년 3분기 말 기준 동성제약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7억원에 불과하다.
매출채권 관리가 향후 자금 활용의 핵심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작년 3분기 말 기준 동성제약의 유동자산은 688억원으로 전년 말 608억원 대비 13.2% 늘어났다. 다만 매출채권 및 기타 채권이 297억원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다.
문제는 회수 가능성이 낮은 1년 이상의 장기 매출채권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작년 3분기 말 기준 1년 이상 매출 채권 잔액은 47억원으로 2023년말 28억원 대비 69.9% 늘었다. 전체 매출채권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9.3%에서 15.5%로 6.2%포인트 확대됐다. 매출채권 손실 충당금 역시 2023년 6억원에서 작년 3분기 말 8억원으로 증가했다.
그밖에 기타 금융자산 내 대여금도 35억원으로 적잖은 수준이다. 2023년 말 21억원 대비 66.7% 증가한 수치다. 전체 기타금융자산은 같은 기간 27억원에서 36억원으로 33.3% 증가했다.
추가 자사주 정책도 가능하지만 시장에 미칠 영향을 고려했을 때 연이은 매도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 자금 대여 또는 증권 발행 등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동성제약 관계자는 "현재로서 자사주 정책 관련해 정해진 사안은 없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머큐리, 국내 최초 AP 매터 인증 획득
- [i-point]아이즈비전, '쯔양'과 취약계층 어르신 지원 공동캠페인
- 세라젬, 홈 헬스케어 IoT 국제 표준화 확립 '목전'
- [i-point]티로보틱스, 북미서 AMR 추가 수주
- TS인베, 16호 M&A 펀드로 '미드니·모어스' 베팅
- [VC 투자기업]아이씨유코퍼레이션, 미국 진출…하반기 시리즈A 시동
- 만만한녀석들, 100억 밸류 시리즈A 시동
- [Founder Profile/엔라이즈]김봉기 대표, 데이팅앱으로 글로벌 빅테크와 승부
- [VC 투자기업]'혹한기' 명품 플랫폼, 충성고객 관건…발란 독주 눈길
- [thebell interview]"비거라지, 드론으로 물류 혁신…나스닥 입성 꿈꿔"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재무개선에 급전 필요한 동성제약, 묘수는 '자사주'
- [2025 신풍제약 재도약]유제만 대표 "체질개선 시기 지나 이제는 결실의 시간"
- '마일스톤 대박' 삼성바이오에피스, 성장률·수익성 다잡다
- [2025 신풍제약 재도약]도약은 결국 신약…타깃은 뇌졸중, 전략은 액티라제 병용
- 보톡스로 '중동'가는 휴젤, '신흥국·주요국' 투트랙 전략
- [2025 신풍제약 재도약]피라맥스 끌고 신제품 밀고, 매출 24% 성장 목표 자신감
- [thebell note]미국에서 불어올 바이오 투자 훈풍
- [2025 신풍제약 재도약]코로나 3상 끝 '비용부담' 털었다…'순현금' 뒷배 흑자 원년
- [JPM 컨퍼런스 2025]미국 찍고 브라질로…윤성태 휴온스 회장의 글로벌 행보
- [JPM 컨퍼런스 2025]발표 없어도 '기회의 장', 제약사 '오너·대표' 직접 챙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