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메디컬 IPO]상장 자진철회 후 '해 넘겨' 재도전, 밸류 올린 묘수였다신규 증권신고서에 신규 매출 부각, 기관 의무보유 비중 높아
이기욱 기자공개 2025-02-10 07:28:11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7일 08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다사다난 했던 동방메디컬의 기업공개(IPO) 작업이 다음주 완료될 예정이다. 작년 한 차례 상장을 철회하는 등 다소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으나 결과적으로 목표했던 공모금액을 달성하게 됐다. 해를 넘겨 상장 시점을 연기한 선택이 묘수가 됐다는 평가다.증권신고서를 새롭게 제출하는 사이 신규 수익원이 확보됐고 매출 측면의 투자 매력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높은 기관투자가의 의무보유 확약 비중으로 인해 상장 후 주가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도 나오고 있다
◇순수입금 310억으로 작년 예정 공모액 상회
동방메디컬은 이달 13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이달 3~4일 진행한 일반 청약 결과 10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하며 공모금액을 모두 채울 수 있게 됐다.
동방메디컬의 상장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작년 9월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고 11월 21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었으나 수요예측을 마친 후 돌연 철회신고서를 제출했다.
당시 수요예측 결과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당시 희망밴드 최하단인 9000원에도 공모가를 맞추기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비슷한 시기 코스닥 상장에 도전했던 온코닉테라퓨틱스와 온코크로스 등은 희망밴드 하단을 하회하는 공모가에도 상장을 강행했지만 동방메디컬은 철회 후 재도전함으로써 상장 시점을 일부 연기하는 전략을 펼쳤다.
결과적으로 상장 연기는 밸류를 올리는 '묘수'가 됐다. 지난달 새롭게 진행한 수요예측 결과 희망밴드 최상단인 1만500원으로 공모가가 결정됐다. 수요예측 경쟁률은 910.14대 1을 기록했다.
발행 물량을 340만1029주에서 300만주로 줄였음에도 과거 목표로 했던 금액 이상을 조달할 수 있게 됐다. 총 공모금액은 315억원으로 이중 발행제비용 등을 제외한 순 수입금은 310억원이다. 작년 희망밴드 하단 기준 예정 순수입금 301억원보다 9억원 많은 금액이다.
동방메디컬은 증권신고서를 새롭게 제출하는 사이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했고 매출 측면의 투자 매력을 더욱 부각 시킬 수 있었다. 특수 필러 추가 공급 계약을 기반으로 한 용인 공장 증설 사실을 새로운 증권신고서에 명시했다.
◇3개월 이상 의무보유 비중 20% 넘어, 차입금 상환 고려
상대적으로 높은 기관투자가 의무보유 확약 비중도 긍정적 요소 중 하나다. 기관투자가 의무보유 확약 비중은 오버행 이슈와 직결돼 있기 때문에 상장 초기 주가 흐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무보유 확약 비중이 높을수록 시장에 한 번에 물량이 풀릴 가능성이 낮아 주가 방어가 용이하다.

6일 공시된 증권발행실적보고서에 따르면 총 300만주 중 기관투자가 배정 물량은 221만6179주다. 이중 의무보유 확약 물량은 48만2090주로 전체 21.75%에 해당한다. 작년말 상장했던 온코닉테라퓨틱스와 온코크로스의 기관투자가 의무보유확약 비중은 각각 10.7%, 0.06%를 기록했다.
기간별로는 3개월 이상 보유가 12.03%로 가장 많고 6개월 이상 보유가 8.82%로 그 뒤를 이었다. 3개월 이상 의무 보유되는 물량만 20%를 넘어선다.
동방메디컬은 추가로 확보된 자금을 차입금 상환 등에 사용하며 비용 효율성을 개선할 예정이다. 공모가가 희망밴드 상단으로 결정되며 약 44억원의 자금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동방메디컬 관계자는 "계획했던 대로 공장 증설과 해외법인 출자, 원부자재 조달 등에 공모자금을 활용하고 추가적으로 차입금을 우선 상환해 이자비용을 줄이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며 "꾸준히 매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운영자금과 설비투자 자금도 충분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옵트론텍, 600% 상회하던 부채비율 158%로
- [i-point]옵트론텍 "강모씨 파산신청 법원이 기각"
- [i-point]케이쓰리아이, 호남권 유일 4K 돔영상관 구축
- [i-point]제일엠앤에스, 최대 매출 달성에도 적자 전환
- 국세청, 코빗·업비트 세무조사 착수…코인 업계 '긴장'
- [Red & Blue]JR에너지 맞손잡은 유진테크놀로지, 장비사업 기대감
- 김동명 LG엔솔 사장 "트럼프 변수 대비한 기업이 승자"
- 엘앤에프, 미국 LFP 투자 본격 검토…CFO 현지 출장
- 최수안 엘앤에프 부회장 "미국 LFP 투자, 자금 조달 방식 검토"
- 이에이트, TYM에 디지털트윈 플랫폼 공급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트럼프발 생크션, 제약바이오 위기와 기회]'러-우 전쟁' 종전 급물살, '임상·수출' 재개는 긍정적
- [트럼프발 생크션, 제약바이오 위기와 기회]'WHO 탈퇴' 공중보건 산업 위축…'진단·백신' 영향권
- [트럼프발 생크션, 제약바이오 위기와 기회]관세 이상의 파급력 '생물보안법', '수혜·우려' 공존
- 삼성로직스, 트럼프 시대에도 'ESG경영' 정관 변경 추진
- 미용·신약 독립 성장, 제테마의 자회사 페로카 활용법
- [트럼프발 생크션, 제약바이오 위기와 기회]'시밀러·제네릭' 우호정책에 찬물 끼얹은 '관세'
- 에스바이오메딕스, '숨은 진주' 미용의료 자회사 '에스테팜'
- 셀비온의 넥스트 전략, ARC 이어 MSD 키트루다 병용까지
- [동방메디컬 IPO]상장 자진철회 후 '해 넘겨' 재도전, 밸류 올린 묘수였다
- '화장품 사업 강화' 서울리거, 공장매입까지 '일사천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