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이마트, 공격적 주주환원 제시…주가 흐름 '화답'②최저 기준 25% 상향, 자사주 절반 소각 등…재원 마련 위한 이익 개선 '과제'
안준호 기자공개 2025-02-14 12:39:13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2일 15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마트가 오는 2027년까지 연간 영업이익의 20%, 주당 최소 2000원을 액면 배당한다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배당 규모를 높인 것은 물론 매입 후 장기간 보유해 온 자기주식도 연간 일정 규모 소각한다는 계획을 내놨다.자사주 소각은 주주총회를 앞두고 이마트 소액주주들이 제기했던 요구사항이기도 하다. 다만 회사 측에서도 주주 여론을 감안해 매입 당시 계획대로 소각을 실천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가 역시 이틀 연속 우상향 흐름을 이어갔다.
◇최저배당 25% 상향, 연 134억 추가 투입…수익성 개선 ‘자신감’
이마트는 지난 11일 공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했다.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3년 동안 최저배당 금액을 주당 2500원으로 상향하고, 보유 자기주식 가운데 절반 가량을 향후 2년간 단계적으로 소각하는 것이 골자다.
이마트는 그간 꾸준히 배당 의지를 보였던 기업으로 꼽힌다. 영업수익성이 과거 대비 낮아진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배당금 지급 기준을 상향해 왔다. 지난 2023년에는 배당 재원 마련 기준이 별도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의 15%에서 20%로 조정되기도 했다.
이번 밸류업 공시에선 해당 기준을 더 올려 잡았다. 20%라는 재원 기준은 그대로 유지하지만, 최저 배당금을 주당 2000원에서 2500원으로 25% 상향했다. 최근 5~6년 사이 줄곧 최저 기준에 따라 배당금이 지급된 점을 고려하면 향후 배당금 규모가 늘어날 전망이다.
최근 공시된 2024 회계연도 기준 배당 규모는 주당 2000원, 총 536억원 가량이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이 1218억원으로 하락세를 보였지만 최소 기준에 따라 배당 규모가 정해졌다. 지난 2021년 이후 영업이익 기준 배당성향은 4년 연속 20%를 넘어서고 있다. 올해는 44%로 상승했다. 영업이익이 감소했지만 최소 지급 기준에 따라 배당 성향도 상승했다.
새 기준을 적용할 경우 배당 성향은 더 올라간다. 134억원의 추가 재원이 투입되어 2024년 기준 총액이 약 670억원까지 증가한다. 현재 실적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배당성향이 50% 이상이 된다. 바뀐 기준에 따라 지속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유지하려면 안정적인 영업이익 상승이 필요할 전망이다. 밸류업 계획에 2027년 1조원대 영업이익이라는 목표도 제시한 만큼 올해 본격적인 수익성 확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5/02/12/20250212151108248_n.png)
◇소액주주 요구 컸던 자사주 소각, 향후 2년 동안 절반 진행
자사주 소각 역시 눈에 띄는 대목이다. 이마트는 지난 2019년과 2022년 각각 1034억원, 1343억원을 들여 자기주식 취득에 나섰지만 소각을 진행하진 않았다. 그보다는 보유 자사주를 신규 사업 재원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2021년 네이버와의 지분 교환을 통한 이커머스 협업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마트의 현재 보유 자기주식은 108만7466주다. 2011년 회사 분할 과정에서 취득한 1만1642주까지 포함한 규모다. 회사는 이 중 절반에 해당하는 56만주를 향후 2년 동안 매년 28만주씩 단계적으로 소각할 계획이다. 발행주식총수의 2%에 해당하는 규모다.
때문에 이마트 소액주주들 사이에서도 자사주 소각을 요구하는 의견이 많았다. 소각 없인 자사주 취득의 주주환원 효과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실제 주주총회를 앞두고 최근 결성된 소액주주연대 역시 주주제안에 첫 번째 요구사항으로 담았다.
이마트보다 앞서 밸류업 계획을 발표한 롯데쇼핑의 경우 35%의 주주환원율과 함께 최소 3500원의 배당금 지급 정책을 포함시켰다. 단 자사주 관련 정책은 제외하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현재 롯데쇼핑 주가 역시 밸류업 직전인 6만1900원 대비 하락한 5만원 중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마트의 경우 자사주 소각으로 주가 측면에선 더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주가는 밸류업 공시 당일 8% 가까이 상승했고, 이튿날인 11일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마트 관계자는 "최저배당 상향과 자사주 소각은 주가 부양에 대한 의지와 자신감의 표현”이라며 "실질적 성과 창출과 시너지를 내서 주주 혜택을 더 늘린다는 청사진"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i-point]'숨고르기' 그리드위즈, "올해 신사업 확대"
- [영상]올릭스, 릴리와 맺은 기술이전의 의미
- [i-point]탑런토탈솔루션, 2년 연속 5000억대 매출 달성
- [i-point]포니링크, 153억 전환사채 납입완료
- [i-point]스카이월드와이드, 디렉터스테크와 협업 본격화
- [딥시크 임팩트] 토종 AI 반도체, '홀로서기' 한계 직면
- [i-point]조광ILI, 대유 주식 5% 공개매수 추진
- [소부장 2세 시대 개막] 하나마이크론, '기회의 땅' 베트남·브라질 사업 가속화
- [가전 구독의 시대] '렌털 강자' 코웨이, 대기업 참전 불안? '오히려 좋아'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이마트, 공격적 주주환원 제시…주가 흐름 '화답'
안준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이마트, 공격적 주주환원 제시…주가 흐름 '화답'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이마트, '영업익 1조' 달성 가능성은
- [에이유브랜즈 IPO]상단 할인율 '7.8%'…투자자 설득 관건
- [에이유브랜즈 IPO]차가워진 투심, 규모와 보호예수 '고심'
- [주주총회 프리뷰]'비공개' 유지하는 이마트 보수 정책…주주제안으로 바뀔까
- [주주총회 프리뷰]재무부담 커진 이마트…밸류업 프로그램 '주주제안'
- [트럼프발 관세전쟁]현실화된 무역 장벽, K푸드 현지 생산 기업 '주목'
- [주주총회 프리뷰]소액주주 결집한 이마트, 주주제안 '임박'
- [에이유브랜즈 IPO]3년만의 K-패션 상장, 중요도 높아진 '성장 스토리'
- [구다이글로벌이 꿈꾸는 K뷰티]인디뷰티 큰손, ODM사도 물밑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