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 스몰캡 리포트]우원개발, 승강기 공사업 진출로 '본업 강화'토공사업 확대 전략 속 수주 영역 '확장'…작년 하반기 신규 수주액 1987억
김서영 기자공개 2025-02-21 07:26:32
[편집자주]
건설산업은 건축과 토목 뿐만 아니라 설비 및 전기, 인테리어 그리고 유지관리 등을 아우른다. 넓은 범위 만큼 종사하는 기업도 9만개에 달한다. 조단위 매출을 창출하는 대형 건설사 외에 중견·중소기업들도 각자 역량을 발휘하며 건설산업을 떠받치고 있다. 특히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본으로 몸집을 키우고 있는 곳들도 많다. 다만 활발하지 않은 IR 활동으로 주주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더벨은 건설산업을 기반으로 상장한 중견·중소기업들의 개별 이슈를 짚어보고 재무와 지배구조 등을 들여다 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0일 10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토목 건설사 우원개발이 본업인 토공사업 확대를 꾀한다. 사업 다각화를 위해 정관 사업목적에 '승강기 공사업'을 추가한다. 승강기 사업 면허를 취득해 신규 수주 범위를 확대하고 토공사업 외형 확장에 더욱 드라이브를 건다는 전략이다.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 건설사인 우원개발은 최근 이사회를 열고 정기 주주총회 소집을 결의했다. 이날 이사회에서는 △재무제표 승인 △이사 및 감사 선임 △보수한도 승인 등을 주총 안건으로 확정했다.
주총 안건 중 눈에 띄는 건 바로 '사업목적 변경을 위한 정관 변경안'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기 및 삭도공사업'을 정관 내 사업목적에 추가한다. 우원개발 이사회는 사업 다각화를 위해 사업목적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우원개발 IR 관계자는 "승강기 공사업 면허가 있어야 입찰 가능한 신규 수주를 준비 중인데 정관 내 사업목적을 변경해야 해당 면허를 취득할 수 있다"며 "토공사업 쪽으로 사업을 더 키워나갈 생각이 있어 신규 수주에 나선 상황"이라고 말했다.
우원개발은 토목전문건설업체로 국가 기간산업인 △도로 △철도 △산업단지 △항만 및 하천 △댐 △플랜트 공사를 시공한다. 사업부문은 크게 토공과 도시개발 사업으로 나뉜다. 우원개발은 이 가운데 '본업'인 토공사업 확장에 고삐를 쥔다는 구상이다.
작년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토공 사업부문 누적 매출액은 205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1799억원)와 비교해 13.97% 증가했다. 토공 사업부문 연간 매출액은 2020년까지 2000억원을 밑돌며 횡보했으나 2023년 말 매출액 2472억원을 기록하며 2년째 2000억원을 웃돌았다. 반대로 도시개발 사업부문은 2020년 매출액 1428억원으로 나타났으나 이듬해 31억원으로 급감했다. 작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은 8억원이다.
토공 사업부문의 매출 성장으로 작년 말 개선된 경영 성적표를 받았다. 작년 말 연결 기준 매출액은 3028억원으로 전년 동기(2525억원) 대비 19.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두 배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5억9517만원으로 1년 새 91.1% 불어났다.
이같은 호실적은 지난해 공사수주가 늘면서 매출이 증가한 영향이다. 우원개발은 작년 하반기에도 신규수주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작년 8월 625억원 규모의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3공구' 수주를 따낸 것을 시작으로 두 건의 신규 수주를 추가했다. 작년 9월 '청라7호선1공구 터널공사'(491억원)와 11월 '인덕원~동탄복선전철 제12공구 노반신설'(871억원) 등 신규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우원개발이 본업 강화에 집중하는 건 자회사 대상종합개발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우원개발은 지난 2001년 대상종합개발을 설립해 부동산 개발 사업에 나섰다. 최근에는 차입금을 늘리며 부동산 개발업에 재시동을 걸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실적은 좋지 못하다. 대상종합개발은 작년 3분기 누적 매출액 7억9897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45억3405만원) 대비 82.38% 급감한 수치다. 같은 기간 누적 순손실 21억6010만원으로 순손실 폭이 커졌다.
100% 자회사 대상종합개발 실적이 나빠지며 모회사 우원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작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대상종합개발 매출 감소에 따른 손실을 반영하며 순이익이 감소했다. 작년 말 기준 우원개발 순이익은 13억7834만원으로 전년(14억7509만원)보다 6.5% 줄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미술품 증권신고서 분석]아티피오, 투자증권 정정 후 통과…핵심은 '배당소득세'
- [i-point]소룩스 "주가하락 반대매매 탓, 임상·합병 추진 계속"
- [i-point]아이티센 "금 품귀 현상, 조각투자·개인거래 등 대안 주목"
- 무뇨스 현대차 사장, 첫 타운홀 미팅…'3H 청사진' 의미는
- '현대엔지 시공' 신광교 클라우드시티 '반도체 수요 겨냥'
- 에스이인터, ‘젤라또피케’ 브랜드 안착…사업 다각화 순항
- [에이유브랜즈 IPO]무신사 플랫폼 동반성장, 브랜드 발굴 '성공작' 나올까
- [주주총회 프리뷰]주주서한 받은 농심, '기업가치 정상화' 요구 배경은
- [Company Watch]현대지에프홀딩스, 재무 청사진 '순차입금 20% 감축'
- [IR Briefing]이광후 모니터랩 대표 "SaaS 플랫폼 비즈니스 집중"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산업 스몰캡 리포트]우원개발, 승강기 공사업 진출로 '본업 강화'
- [PF Radar]'GS건설 연대보증' 원주자이 2단지, 본PF 전환 '언제쯤'
- [건설리포트]KCC건설, 보수적 원가 관리에 수익성 '껑충'
- [건설리포트]호실적 낸 한신공영, 수익성 개선 비결은
- GS건설, COO 체제 부활…리스크 관리 강화
- [건설사 생크션 리포트]GS건설, '행정제재' 집중…대규모 컴플라이언스 조직
- [건설사 생크션 리포트]10대 건설사, 최근 5년간 어떤 제재 받았나
- GS건설, 유동화증권 2000억 조달…유동성 관리 고삐
- [건설사 도시정비 경쟁력 점검]GS건설, 리뉴얼 '자이' 등에 업고 자존심 되찾는다
- [2025 건설사 분양 지도]GS건설, 수도권 일대 1.6만가구 공급 '선택과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