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대응 없는 삼녀, 우선매수권 행사 포기했나SPA 체결 이후 무대응에 의외 평가, 빠른 딜 진행·불확실성 등 원인 거론
감병근 기자공개 2025-03-06 08:10:12
이 기사는 2025년 03월 05일 11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워홈 오너일가 삼녀가 한화그룹의 장남·장녀 지분 매입 계약 체결 이후에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행보를 봤을 때 단기간 내에 우선매수권 행사를 위한 법적 대응이 예상됐던 점을 고려하면 의외라는 평가다. 삼녀 측 예상을 벗어난 딜 속도, 우선매수권 행사의 불확실성 등이 원인으로 거론된다.5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아워홈 오너일가 삼녀인 구지은 전 부회장은 아직까지 장남 구본성 전 부회장, 장녀 구미현 회장을 상대로 법원에 주식처분금지 가처분신청을 제기하지 않았다. 장남과 장녀는 지난 달 11일 한화그룹에 보유지분 58.62%를 8695억원에 매각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당초 삼녀 측은 SPA에 반발해 즉각적으로 가처분신청을 제기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작년 연말부터 아워홈 정관에 기재된 오너일가 우선매수권을 활용하기 위해 자금을 지원할 재무적투자자(FI)를 적극적으로 물색하기도 했다.
하지만 SPA 체결 이후 한 달 가까운 시간이 지났는데도 삼녀 측에서 별다른 대응이 나오지 않자 우선매수권 행사를 포기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SPA 이전까지 활발하게 진행됐던 FI 물색 작업도 중단된 듯한 움직임 감지된다.
삼녀 측은 한화그룹과 장남·장녀 간 SPA 체결을 예상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장남 측과 한화그룹이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고 확신하던 상황에서 의외로 빠른 결론이 나오자 당황했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기에 우선매수권 행사 자체가 쉽지 않다는 점도 삼녀 측이 고려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 우선매수권을 기재한 정관 조항은 지분 처분 자유를 보장하는 상법 위반 가능성이 꾸준히 거론돼 왔다. 이 정관이 상법 위반으로 무효라면 삼녀 측은 한화그룹의 아워홈 인수에 제동을 걸 방안이 없다.
삼녀 측 법률자문을 맡은 김·장법률사무소(김앤장)도 이러한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김앤장 입장에서는 삼녀 측에 서서 대기업인 한화그룹과 지속적으로 대립각을 세우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FI 모집에 진전이 없기 때문에 삼녀 측에서 대응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삼녀 측은 어펄마캐피탈을 백기사로 확보했지만 장남·장녀 지분 매입을 위해서는 추가 지원군이 필요한 상황이다. 어펄마캐피탈은 최대 5000억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한화그룹이 장남·장녀 지분 매입에 적용한 밸류에이션이 높기 때문에 이를 맞춰줄 FI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삼녀 측은 연초에 대형 증권사를 돌며 투자 의향을 타진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삼녀 입장에서는 지분을 매입할 자금을 확보하지 못하면 우선매수권 행사를 위한 법적 대응 자체가 의미가 없다.
삼녀 측에서 현재 태도를 유지한다면 한화그룹의 아워홈 인수는 예정대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한화그룹은 내달 29일 1차 거래종결을 통해 지분 50.62%를 우선 완전 취득하게 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딜
-
- 8년만에 대형스팩 합병 성사…삼성9호 '주총' 통과
- [영상]'1세대 패션 플랫폼' 무신사, 고난도 상장 도전기
- EQT파트너스, SK쉴더스 '3.3조' 리파이낸싱 추진
- [나우로보틱스 IPO]희망밴드 상단 공모가 확정, 연말 호재도 남았다
- [한화에너지 IPO]한화에어로 증자 제동…상장 스케줄 안갯속
- 고려아연 1조 사모채 전액 조기상환…공모채 더해 CP 활용
- [밸류업 파트너, PEF의 진화]투자의 마침표, 엑시트로 보여주는 PEF식 밸류업
- 저축은행 파는 SBI그룹, 12년 만에 투자금 회수
- 오아시스EP, '푸응' 닥터블릿헬스케어 최대 500억 투자 추진
- 'SBI그룹과 밀월' 교보생명, SBI저축은행 인수한다
감병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P&Earning]'AUM 26조 돌파' 노란우산, 대체투자 수익률 2배 상승
- 'FI 관심' SK에코플랜트, 테스도 매각할까
- '창립 10년' VL인베, 폐기물 투자 선도 하우스 포부
- '펀딩의 정석' 글랜우드PE
- 라데팡스, 한미사이언스 지분 매입 '2000억 펀드' 소진 완료
- 명은진 룩센트 상무 "신사업 본궤도, 컨설팅 경쟁력 기반 차별화"
- 중부CC 매각 속도전, 홀당 가격 100억 가능 관측
- 글랜우드PE, 3호 펀드 1조 규모로 내달 1차 클로징
- [LP Radar]'역대 최대 출자' 산재기금, PEF 시장 존재감 커진다
- 대형 조선사, SK오션플랜트 관심 배경 '신규 야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