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격호 회장, 사비로 롯데월드타워 꼭대기층 산다 '클라우드7' 114층 개인자격 수분양 결정…글로벌 CEO 모시기 병행
길진홍 기자공개 2015-03-05 08:17:37
이 기사는 2015년 03월 04일 15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사비를 들여 서울 잠실의 롯데월드타워 최고층 사무실을 분양받는다. 이어 최고층 아래 사무실 6개층도 일본과 한국의 재계 오너를 비롯한 글로벌기업 최고경영자(CEO)에 수의계약 형태로 매각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
4일 재계에 따르면 신격호 회장은 일반 사무실 용도로 설계된 롯데월드타워 114층을 개인자격으로 분양받기로 했다. 신 회장이 직접 매입 의사를 밝혔으며 그룹 차원에서 후속 절차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이 매입키로 한 114층은 전용면적인 464㎡(140평)이다. 전용률 등을 감안한 실제 공급(분양)면적은 660㎡(200평)을 넘는다. 분양가는 3.3㎡당 4000만 원 수준으로 구입비용은 100여억 원으로 추산된다. 신 회장이 회사 소유의 건물을 쓸 수도 있으나 롯데월드타워 상징성 등을 고려해 직접 구입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월드타워 109층부터 114층까지 모두 7개층 규모의 개인 사무실이 잡혀 있다. 롯데그룹 내부에서는 '구름위의 사무실'이라는 뜻으로 ‘클라우드7' 프로젝트로 불린다. 신 회장이 이 가운데 가장 높은 층을 구입키로 한 것이다.
신 회장은 클라우드7의 남은 6개층을 지인들에게 매각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 회장과 평소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진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 오너들에게 수의계약 형태로 처분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매각차익을 기대하지 않고, 홍보 마케팅 차원에서 사무실 양도를 추진 중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신 회장이 본인 스스로 직접 구분등기된 사무실을 구입할 뜻을 밝혔으며 지인들에게도 클라우드7 사무실 매입 의향을 물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롯데그룹은 설계 변경을 통해 클라우드7의 층수를 전망대 바로 밑층 (122층)으로 변경하는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롯데그룹은 이에 대해 클라우드7 매각은 아직 구체적으로 논의된 게 없다고 밝혔다. 롯데물산 관계자는 "롯데월드타워 오피스의 경우 오피스텔과 마찬가지로 개별 분양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나 지금은 롯데몰 안전과 쇼핑몰 활성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사무실 분양은 타워동 준공 이후에 구체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롯데월드타워는 2016년 말 완공예정으로 123층에 높이 555m로 조성된다. 세계에서 6번째로 높다. 최고층인 123층에는 세계최고 높이의 전망대 'SKY 123'이 들어선다. 전망대 높이가 500m로 두바이 부르즈할리파보다 48m높다.
롯데월드타워 지상 1~12층에는 금융센터, 헬스케어센터, 여행서비스센터 등 복합 서비스 시설이 들어선다. 14~38층의 중층부는 프리미엄 오피스로 구성된다. 42~71층은 업무와 사교, 거주와 휴식을 겸하는 오피스텔이 들어선다. 고층부인 76~101층에는 국내 최고높이의 6성급 호텔이 들어설 예정이다.
한편 롯데그룹은 오는 24일 롯데월드타워 공사 100층 돌파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행사에는 신 회장을 비롯한 정재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DS단석, 영남 지역 산불 피해 지원 성금 5000만원 기부
- [Company Watch]율곡, 지정감사 통과 '코스닥 상장 탄력'
- [i-point]엔켐 "美 대중 관세로 반사이익 기대"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오너 3세 이우일 체제 안착…'지분승계'만 남아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
- [대명소노 시대 티웨이항공]새 이사회 키워드 '대한항공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