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산업개발, '유통' 넘어 '레저'로 영역 넓히나 고성 리모델링, 정선 신축…리조트사업 확대 포석
고설봉 기자공개 2016-12-20 08:33:13
이 기사는 2016년 12월 19일 16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산업개발이 유통산업을 넘어 레저산업으로 영역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파인리조트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본격적으로 리조트 사업을 확대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미 리조트와 호텔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 부분에서 시너지를 노릴 수 있다는 평가다.현대산업개발은 올해 초 주력인 건설업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디벨로퍼로서의 역량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면세사업 진출로 자신감을 얻은 현대산업개발은 올해 '새로운 40년'을 위한 신사업 발굴을 위해 전략적으로 접근했다. 전 산업군에 걸쳐 가능성을 열어두고 본격적으로 M&A 시장에 발을 디뎠다.
현대산업개발의 사업다각화 첫 관문은 유통업이었다. 지난해 면세점 사업권 획득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다각화에 나섰다. 용산역이라는 지리적 이점이 큰 아이파크몰을 활용해 유통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했다. 지난 11월 현대산업개발은 1000억 원을 투입해 아이파크몰 전면 증축에 나서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면세점과 시너지를 위해 CGV와 '복합한류타운' 조성도 합의했다.
현대산업개발의 다음 스텝은 리조트와 호텔 등 레저산업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번 현대산업개발의 파인리조트 인수전 참여는 올해 초 출범한 인수합병(M&A) 전담 태스크포스팀(TFT)의 첫 M&A 출사표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이미 리조트와 호텔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 등을 고려했을 가능성도 점쳐진다.
M&A TFT 출범 이후 M&A 시장 상황을 다각도로 모니터링 하면서 인수합병 후 본사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회사 물색에 주력해왔다는 점에서 현대산업개발의 이번 파인리조트 인수전 참여는 전략적 판단이라는 해석이다.
현대사업개발은 강원도 고성군에 아이파크 콘도를 보유하고 있다. 지하 2층~지상 20층, 총 340 객실 규모로 2008년 리모델링을 완료했다. 이외 서울 삼성동 파크하얏트 서울, 부산 파크하얏트 부산 등 호텔 2곳을 보유하고 있다. 리조트는 자체 운영하고, 호텔은 호텔 체인인 하얏트에 외주를 줬다.
현재 강원도 정선에 2018년 완공을 목표로 리조트를 신축 중이다. 내년 연말까지 총 사업비 약 505억 원을 투입해 총 1만 610㎡ 부지에 지하 2층~지상 12층, 204실 규모의 숙박시설을 갖춘 리조트를 개발한다. 완공 뒤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에 선수단 대체숙소로 활용한다. 올림픽이 끝나면 일반 리조트로 전환해 현대산업개발에서 직접 운영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번 파인리조트 인수가 성사된다면 현대산업개발은 장기적으로 총 3곳의 리조트를 보유하게 된다. 향후 운영 측면에서 파인리조트 인수 후 리조트 사업에서 규모가 커지는 만큼 인력 운용 측면에서도 사업 시너지를 일을 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고성 아이파크 콘도가 숙박시설 외에 부대시설이 없다는 점에 비춰 파인리조트는 충분히 매력적이다. 파인리조트는 27홀, 18만 1500㎡ 규모 부지에 양지파인컨트리클럽, 파인스키밸리가 조성돼 있고, 지하 3층~지상 11층 규모 리조트텔과 빌라텔로 구성돼 있기 때문이다.
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게 없다"고 밝혔다. 다만 "신축 중인 정선리조트의 경우 기획 단계부터 회사 자체적으로 관심이 높은 사업이었다"며 "리조트 신축 사업은 세심하게 공을 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동상이목(同想異目)]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 [아이티켐 IPO]활발한 조달, RCPS·유상증자 당시 밸류 살펴보니
- [판 바뀐 종투사 제도]위험 익스포져 확대 전망, 리스크 파트 설득 '관건'
- [판 바뀐 종투사 제도]PBS 대상 확대…실효성은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변곡점 맞은 해운업]대한해운, 실적 성장보다 '가파른' 재무구조 개선세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그룹 벌크 이끄는 대한해운, 호황기 지났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 '자생력'에 베팅했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옥상옥’ 그룹 지배구조, 개편 없이 그대로 간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한화 합병 안한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상선에 '건설사 붙이기' 그 성과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