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재팬, '피코마'로 해외 사업 확대하나 일본판 카카오페이지 월 이용자 140만명 돌파
김나영 기자공개 2017-06-21 08:37:07
이 기사는 2017년 06월 20일 10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가 약점으로 꼽히던 해외 콘텐츠 진출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다. 카카오의 기반인 메신저 카카오톡은 국내 사용자가 전체의 85.7%로 아직까지 내수에 집중돼 있다. 카카오는 웹툰·소설 등 콘텐츠 서비스와 플랫폼으로 해외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19일 카카오에 따르면 카카오재팬이 서비스하는 콘텐츠 플랫폼 피코마는 지난 5월 기준 월간 이용자 수(MAU) 140만 명, 일간 이용자 수(DAU) 52만 명을 넘겼다. 피코마의 성장 속도는 국내 카카오페이지 론칭 초기를 앞지르고 있다.
피코마는 1분기 말인 지난 3월 MAU 100만명을 달성했으나 2개월 만에 40%가량 성장했다.
피코마는 지난해 4월 카카오재팬이 일본에 선보인 콘텐츠 플랫폼으로 일본판 카카오페이지다. 일본 콘텐츠 시장에 먼저 진출한 코미코와 라인 망가는 카카오페이지에 앞서 3년 먼저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웹툰에 한정돼 있었다. 피코마는 콘텐츠 종류를 웹툰 외에 소설까지 확장하고 출발부터 유료화를 못박았다.
현재 일본 웹툰 플랫폼 1위는 NHN엔터테인먼트의 코미코다. 코미코의 MAU는 200만~240만 명을 꾸준히 유지하다가 올해 초 180만 명 수준으로 하락했다. 네이버의 라인 망가는 120만~150만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현 추세대로라면 피코마가 이들과 경쟁 구도를 만들 전망이다.
콘텐츠업계에서는 피코마가 후발주자이기 때문에 비교적 시장 진입이 쉬웠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유료 사용자 수 증가를 끌어낸 것은 주목할 만하다. 코미코가 최근 MAU가 하락한 것은 지난해 말 부분 유료화 전환 때문이다. 피코마는 초기부터 유료화 모델을 선언하고 콘텐츠를 선보여 리스크를 덜었다.
카카오재팬이 카카오의 약점으로 작용하던 해외 진출에서 성과를 보인다는 점도 주목받고 있다. 모회사 카카오의 주요 사업인 메신저 카카오톡은 국내에 집중돼 있다. 카카오톡의 MAU는 국내 4200만 명, 해외 700만 명이다. 카카오재팬은 NHN엔터테인먼트나 네이버 라인처럼 일본에서 터전을 제대로 일굴 수 없었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페이지와 매우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피코마가 일본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콘텐츠 플랫폼으로 안착하고 있다"며 "북미에는 투자한 플랫폼 타파스가 있으며 중국은 주요 주주이자 파트너사인 텐센트를 통해 콘텐츠의 해외 활로를 더욱 넓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재팬은 2012년 옛 카카오와 야후재팬이 공동출자해 설립한 조인트벤처(JV)였으나 2014년 야후재팬이 보유한 지분 50%를 카카오에 매각하면서 현재는 카카오의 100% 자회사다. 카카오톡의 일본 내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47억 원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빚류업'을 향한 시선
- 밸류업에도 메타인지가 필요하다
- 롱런 사외이사의 빈자리
- [저평가 시그널: PBR 0.3]‘소비침체 여파’ 유통3사 일제히 하락, 반등 모멘텀은
- [재무전략 분석]포스코퓨처엠과 한화에어로 유증이 다른 이유
- [감액배당 리포트]메가스터디 손주은 회장, 세금 부담 없이 '50억'
- [Financial Index/지방은행]외화 LCR 변동성 두각…전북은행, 선두에서 최하위로
- [2025 공시대상기업집단]SK그룹은 리밸런싱 중…1년 만에 계열사 20여곳 감축
- [Financial Index/증권사]ROE·ROA 1위 키움증권…순익 톱3 '한투·삼성·키움'
- [Board Match up/한국 vs 미국은행]국내 금융지주, 이사회 기능 더 분산한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