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에스네트웍스, 삼환인수위해 LOI 제출 [삼환기업 M&A]주택 공급 '부동산 디벨로퍼'…우선매수권자 SM그룹과 경쟁 전망
김경태 기자공개 2018-02-12 08:19:34
이 기사는 2018년 02월 09일 10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부동산 디벨로퍼인 디에스네트웍스(DS Networks)가 삼환기업 인수를 노린다.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삼환기업 매각 측은 이달 2일 예비입찰 마감 후에도 인수의향서(LOI)를 접수받았다. 1곳이 참여 의사를 밝혔는데 디에스네트웍스다.
디에스네트웍스는 1981년 설립된 부동산 디벨로퍼다. 애초 이름은 대승실업이었는데 2006년 현재의 상호로 고쳤다. 정재환 회장이 지분 51%를 보유해 최대주주로 있다.
디에스네트웍스는 주택 개발 사업을 주로 하며 성장했다. 2002년 대구, 김해, 인천에 대우 드림월드를 선보였다. 해외에 사업을 한 경험도 있다. 2000년대 중반 뉴욕 맨하튼, 테메큘라, 마이애미에 주거시설을 지은 경험이 있다. 최근에는 수도권에서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서울 마곡, 용인, 구리, 인천 송도 등에서 오피스텔과 아파트를 공급했다.
부동산 시장이 호황을 맞이하면서 분양을 순조롭게 마무리했고 성장을 지속했다. 2016년 매출은 8436억 원, 영업이익은 848억 원이다. 전년보다 각각 44.1%, 117.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761억 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사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다. 금융업 진출을 노렸고 작년에 결과물을 만들었다. 대유그룹의 대유에이텍과 대유플러스가 보유한 스마트저축은행 지분 82.57%를 인수했다. 작년 9월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거래금액은 800억 원이다.
이번 삼환기업 인수전 참여도 사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삼환기업은 주거시설뿐 아니라 건축·토목에 상당한 시공 경험을 보유한 곳이다. 앞으로 디에스네트웍스가 본입찰에 참여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 우선매수권자인 SM그룹과 경쟁하게 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하나은행, 함영주 회장 2기엔 글로벌 사업 힘 싣는다
- [여전사경영분석]현대캐피탈, 친환경차 리스 중심 영업수익 확대…순익은 감소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NH농협캐피탈, 부실위험 사전 통제 중점…그룹과의 협업은
- [이사회 분석]신한카드, 일본계 주주 영향 속 사외이사 2인 교체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