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트운용, 성과보수 덕에 순익 '껑충' [헤지펀드 운용사 실적 분석] 일임자산, 펀드로 이동…집합투자기구운용보수 162억원
서정은 기자공개 2018-03-09 10:20:09
이 기사는 2018년 03월 07일 11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머스트자산운용이 지난해 당기순이익을 2배 이상 끌어올렸다. 일임고객 자산을 모두 헤지펀드로 이동시킨데다 양호한 수익률로 인해 성과보수가 급증하면서 전체 실적이 올랐다는 설명이다.7일 금융투자협회 공시에 따르면 머스트자산운용(12월 결산)의 2017년 말 기준 당기순이익은 109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42억 7000만원) 대비 156% 급증한 수치다. 지난해 영업수익은 163억원, 영업비용은 23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비용이 전년대비 82.5%(10억4000만원) 증가했으나 영업수익이 142%(95억9000만원) 증가하면서 실적이 고공행진했다. 영업비용 증가는 리서치매니저 등 인력을 충원한 것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머스트자산운용은 김두용·구은미 공동 대표가 설립한 곳으로 2006년 머스트인베스트먼트로 출발, 머스트투자자문을 거쳐 2016년 9월 머스트자산운용이 됐다. 헤지펀드 시장에 진출한지는 이제 1년이 겨우 넘은 회사다.
|
영업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집합투자기구(펀드)운용보수로 162억3000만원이었다. 머스트자산운용은 헤지펀드 시장에 뛰어든 뒤 모든 일임고객 자산을 펀드로 옮긴 상태다. 지난해 펀드운용보수가 증가하게 된 데는 이 같은 영향도 있었다.2016년 말 기준 머스트자산운용의 투자일임수수료는 43억원, 펀드운용보수는 9억7000만원이었다.
머스트자산운용의 헤지펀드 설정액은 3000억원 수준이다. 총 수익의 20%를 성과보수로 받는 점을 감안할 때 펀드운용보수 대부분이 여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머스트자산운용은 헤지펀드 수익률을 30~40% 가량 올리며 업계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롱바이어스드 전략을 활용하는 '머스트 전문투자형 사모투자신탁 제1호'은 42.43%를 기록, 전체 헤지펀드 중 7위를 차지했다.
머스트자산운용 관계자는 "일임고객 자산을 펀드로 이동한데다, 12월 결산을 계기로 고객들의 재투자가 있었다"며 "설정액이 늘어났고, 여기에 수익으로 인한 성과보수를 수취한 영향이 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