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성엽 팬오션 사장, '주가하락' 진화 나서나 외부 노출 자제…주가 박스권 갇히자 간담회 개최
고설봉 기자공개 2018-09-10 08:25:08
이 기사는 2018년 09월 07일 14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추성엽 팬오션 사장이 직접 나서 최근 주가하락에 대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킨다. 완만한 실적 상승에도 불구, 최근 주가가 맥을 못 추자 시장과의 접촉을 넓히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
추 사장이 직접 나서 간담회를 진행하는 것은 최근 팬오션의 주가 흐름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팬오션은 완연한 실적 회복세와 재무구조 개선 등을 통해 펀더멘털을 강화했다. 그러나 주가는 역주행하고 있다.
팬오션은 주력사업에서 선전하며 올 2분기 실적 성장세를 이어갔다. 벌크선부문과 비벌크선부문 등 해운업에서 수익을 거두며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다만 하림그룹 편입 뒤 새로 진출한 곡물사업에서 매출이 줄고 수익성이 악화하는 등 어려움을 보였다.
올 2분기 팬오션은 연결 기준 매출 6788억원, 영업이익 501억원, 순이익 373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매출은 7.32%, 영업이익은 2.52%, 순이익은 87.16% 각각 늘었다. 전체적으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실적과는 상관 없이 팬오션 주가는 5000원 선에 머물러 있다. 52주 최고가는 6820원이지만 지난해 하반기 들어서면서 5000원 대로 내려앉은 뒤, 맥을 못 추고 있다.
팬오션 주가는 지난 6일 종가 기준 5010원을 기록 중이다. 한달 전인 8월 8일 종가는 5110원이었다. 이후 2분기 실적이 발표된 지난달 14일 이후 주가는 지난달 23일 5300원으로 최근 한달 최고치를 찍었다. 하지만 다시 5000원 선에 고정됐다.
|
추 사장은 대외 활동이 극히 드문 CEO로 알려졌다. 특히 언론과 주식시장 관계자들과의 접촉은 극히 이례적이다. 연중 행사로 기자 및 애널리스트 간담회를 한 두 차례 진행하는 정도다.
추 사장은 팬오션을 누구보다 잘 아는 장수 CEO다. 1979년 서울대학교 해양학과를 졸업한 뒤 1982년 4월부터 팬오션에 몸 담았다. 경영관리총괄 부사장으로 있던 2010년 8월 팬오션을 떠나 STX 지주부문 사장을 역임했다. 이후 팬오션이 하림그룹에 인수되기 전인 2015년 하림그룹 고문으로 선임됐다. 2015년 7월 20일부터 팬오션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추 사장은 팬오션 이사회 의장도 맡고 있다.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도 사내이사로 이사회 구성원이지만 의장 자리를 추 사장에게 내줬다. 그만큼 추 사장에 대한 신망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윤석열 대통령 탄핵]UAE국부펀드, '토종 헤지펀드' 출자 속도낸다
- [thebell note]리브스메드, 한국의 포드될까
- IPO 개선안에 코벤·하이일드펀드 투자자 불만 고조
- [Red & Blue]'삼성전자 파트너' 미래반도체, 관세 유예 소식에 '활짝'
- [i-point]해성옵틱스, 삼성전기 ‘2025 상생협력데이’ 품질혁신 대상
- 중소기업중앙회, 액티브 운용사에 최종 자금 집행
- 교보증권, 변동성 장세에 채권 라인업 강화
-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올인'
- 유안타증권, '보수적 기조' 유지…'랩'만 손봤다
- 유진증권, 자산배분 강조…"성장주 저점매수 기회"
고설봉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 '자생력'에 베팅했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옥상옥’ 그룹 지배구조, 개편 없이 그대로 간다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한화에너지-㈜한화 합병 안한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상선에 '건설사 붙이기' 그 성과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thebell desk]한화그룹이 잃어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