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O 걸림돌' RCPS, VC·벤처 회계 장벽 낮춘다 [복합금융상품 전환권 자본화]④코리아센터 전환권 자본 인정 계기, 보통주 전환 요구 등 해소 기대
신상윤 기자공개 2019-10-16 08:10:14
이 기사는 2019년 10월 15일 10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기업 코리아센터가 시가 조정 등 전환가액 조정(Refixing) 조건이 있는 전환상환우선주(RCPS)의 전환권을 자본으로 인정받아 기업공개(IPO)에 나서면서 벤처캐피탈(VC) 등은 기대감을 갖는 모양새다.VC들이 가장 많이 투자하는 형태인 RCPS의 전환권이 조건만 충족한다면 자본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또한 자본으로 분류되면서 상장 직전에 거액의 파생상품 평가손실로 인한 자본잠식도 발생하지 않는다.
14일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벤처투자정보센터에 따르면 올해 1~8월 '신규 투자 금액'은 총 2조 794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를 유형별로 구분하면 우선주가 1조 7307억원(61.9%)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보통주 투자가 4341억원(15.5%)으로 뒤를 이었다. 그 외 프로젝트 투자 1998억원(7.2%), 전환사채(CB)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 1779억원(6.4%) 순이다. 기타는 2519억원(9%)으로 집계됐다.
우선주인 RCPS는 VC 등 재무적투자자(FI)가 비상장 기업 투자에 많이 활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비상장 기업이 IPO에 나설 땐 짐이 되기도 했다. 비상장 기업이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한국회계기준(K-GAAP)에선 RCPS가 '자본'으로 평가되지만 상장 기업이 적용하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은 '부채'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IFRS는 RCPS 전환권 리픽싱 조항이 변동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 부채로 평가한다.
또 기업가치가 상승하면 투자 당시와 달리 전환권의 가치가 커져 파생상품 평가손실로 인식된다. 회사 본질은 변하지 않는데 재무제표상으로 부채가 느는 착시 효과를 낳는 것이다. 이에 비상장 기업들은 IPO를 앞두고 RCPS를 인수한 투자자에게 보통주로 전환 요청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자칫 부채비율이 높아져 IPO 과정에서 발목을 잡힐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리아센터가 시가 조정 등 리픽싱 조건이 있는 RCPS 전환권을 자본으로 인정받으면서 이런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됐다. 여기서 말하는 시가는 특수관계가 없는 제3자들과의 거래액인 상장주식의 시가 또는 공모가액, 유상증자 가액 등을 말한다. 반면 공모가액의 70% 등 헤어컷(Hair-cut)과 같은 레버리지(Leverage) 조건 등은 적용되지 않는다.
벤처캐피탈 업계 관계자는 "RCPS 형태의 투자가 피투자기업에는 상환권과 전환권 등이 있어 부담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모험자본에선 적극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이 됐던 것이 사실"이라며 "코리아센터처럼 전환권을 자본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길이 열린 만큼 피투자기업도 회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위세아이텍, 대한소방공제회 사업 수주…데이터 기반 행정 고도화
- [i-point]감성코퍼레이션, 75억 규모 자사주 취득·소각
- [thebell note]글로벌세아그룹의 민간외교
- [thebell interview]"왓타임, 중고시계 1등 플레이어 목표…일본 공략"
- [VC 투자기업]리코, 585억 시리즈C 투자 유치…업박스 고도화
- 오거스트벤처, 영화투자 강자 급부상 '비결은'
- [김화진칼럼]보험 사기
- [리걸테크 스타트업 점검]엘박스, 투자 혹한기 깨고 시리즈C 성료 임박
- [달바글로벌 road to IPO]구주매출 고사한 FI…'오버행 우려' 기우일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13곳 몰린 재도약, 나우IB·교보증권 탈락 이변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이사회, 기타비상무·사외이사 추가 구성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경쟁력 원천 '포천 석산'에도 업황 탓 고전
- 현대건설, 수익성 8% 목표…TSR 주주환원 첫 도입
-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에너지 트랜지션 리더 도약"
-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평택 반도체 훈풍 속 입주
- [건설부동산 줌人]'김한영호' 한국종합기술, 신재생에너지 강화 낙점
- DB그룹, DB월드에 부동산 개발 역량 결집한다
- 현대건설, 뉴에너지사업부 핀셋 조직개편
- [건설부동산 줌人]동아지질, '해외통' 정경수 신임 대표 선임
- SK에코플랜트, ESG위원회에 '전략' 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