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YP, 해외 비중 '껑충'…내수기업 탈피 '문턱' [Company Watch]해외 매출 52%대…니쥬, 일본 시장 효자로 등극
김슬기 기자공개 2021-08-19 07:35:36
이 기사는 2021년 08월 18일 07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시장 확장에 공을 들여왔던 JYP엔터테인먼트가 상반기 안정적인 해외 성과를 냈다. 그간 진행해온 현지화 전략이 빛을 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K팝 현지화 프로젝트 일환으로 제작한 일본인 그룹 '니쥬(NiziU)'가 큰 인기를 끌면서 JYP엔터의 글로벌 전략이 적중했다는 평이다.JYP엔터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누적 매출액은 729억원으로 집계됐다. 1분기 매출액은 32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 가량 감소했다. 하지만 2분기 매출은 40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9% 가량 증가하면서 상반기 실적 증가를 견인했다.
전체 매출 중 해외매출은 382억원으로 52.4%의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 국내와 해외 매출은 각각 725억원, 719억원이었다. 해외 매출 비중은 49.8%였다. 2019년 해외 매출 780억원을 기록, 처음으로 해외 매출이 국내 매출(775억원)을 앞질렀지만 1년만에 다시 전세가 역전됐다.

과거 JYP엔터의 캐시카우는 국내시장이었다. 우회상장을 했던 2013년 이후부터 2017년까지는 국내 매출 성장률이 해외 매출 성장률에 비해 더 컸다. 해당 기간 평균 국내 성장률은 59.9%였고 해외 성장률은 46.6%였다. 2017년에는 연간 매출 1000억원을 넘어섰고 해외 매출비중은 35%대였다.
2018년 이후부터는 전세가 역전됐다. 국내 매출 성장률이 한자릿수로 떨어진 가운데 해외 성장세가 가팔랐다. 해외매출은 2018년 40.3%, 2019년 51.5% 성장했다. 해외 시장 중에서도 특히 일본 시장의 기여가 컸다. 소속 아이돌그룹 트와이스 영향이 컸다. 트와이스는 일본 시장을 겨냥하고 만들어졌다. 9명 멤버 중 한국인 5명, 일본인과 대만인이 각각 3명, 1명이다. 트와이스는 2017년초 일본시장에 진출하면서 매출 규모를 키웠다.
올해 상반기에는 그룹 니쥬가 큰 몫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니쥬는 JYP엔터의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일본 소니뮤직과의 협업을 통해 2019년 2월 일본과 미국 주요 도시에서 오디션을 봤고 박진영 이사가 주도적으로 나서 그룹 니쥬를 만들었다. 지난해 말 첫 앨범이 발매될 때까지 오디션, 합숙 과정을 방영해 인기를 끌었다. 멤버 전원이 일본인으로 구성돼 있다. JYP엔터의 K팝 성공노하우를 일본시장에 이식한 것이다.
니쥬는 올 상반기에 사상 최초로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 여성 그룹 최초로 1억 스트리밍을 기록했다. 일본 골든 디스크 대상 3관왕을 차지했고 소프트뱅크와 의류브랜드 H&M, 코카콜라 등 대기업 광고 모델로 발탁됐다. 가파른 인기 상승세에 힘입어 JYP엔터 일본법인 매출은 146억원, 순이익 55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일본법인의 상반기 순이익률은 37.5%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처음으로 이익률 12.1%를 기록하면서 10%대를 넘겼으나 올해에는 압도적인 수익성을 기록한 것이다. 올 상반기 JYP엔터 당기순이익은 169억원을 기록, 순이익률은 23%를 냈다. 이와 비교하면 일본 시장에서의 수익성은 큰 폭으로 개선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지아이이노베이션 창업주 장명호, 4년만에 대표 복귀
- [달바글로벌 road to IPO]'콜옵션' 행사 위한 구주매출…'경영권 강화' 진행 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하반기 출범' 안다글로리, 전략 다양화 개시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코웨이 주총 D-3, '표대결' 관전포인트는
- JB운용, '최원철 대표' 꽂힌 CR리츠 4곳 추진
- 삼성증권, '기관전용 PEF 사업' 채비 장기화
-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 환율 상승에 수익률 부진
- 하이일드펀드 여건 변화, 채권 운용에 무게 실린다
- [i-point]서진시스템, 907억 규모 ESS 공급 계약 체결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젝시믹스로 사명 바꿨다
- [thebell League Table]LG CNS·서울보증보험 IPO 빅딜이 시장 키웠다
- [thebell League Table]회사채 63조 역대급 발행, 두드러진 양극화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금감원 무사통과' 삼성SDI와 무엇이 달랐나
- [도우인시스 IPO]삼성 폴더블폰 탄생 일등공신, 매출 1400억 돌파
- 회사채 캡티브 영업에 대한 단상
- 밸런스히어로, 눈에 띄는 성장세 IPO '청신호'
- [회사채 캡티브 논란]증권사만 문제일까 '절대 갑' 발행사 견제 필요
- [회사채 캡티브 논란]치열한 경쟁구도, '동상이몽' 영업 딜레마
- [회사채 캡티브 논란]금감원장 입장 변화에 눈치보는 증권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