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시공능력 점검]DL건설, 합병 후 주택 집중 덕 '다섯 계단' 상승17→12위, 경영평가액 5배 증가…지난해 토목 공사실적 9위 기록도
이정완 기자공개 2021-08-25 07:44:31
이 기사는 2021년 08월 23일 14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DL건설의 합병 효과가 시공능력평가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지난해 삼호와 고려개발을 합친 후 시평 17위에 올랐던 DL건설은 올해도 순위 상승을 이어갔다. 지난해 주택 공사를 늘리며 수익성이 개선된 덕에 평가 항목 중 경영평가액이 크게 증가했다.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1년도 시공능력평가에 따르면 DL건설은 올해 시평액 3조249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기록했던 시평액 1조8090억원보다 80% 증가한 수치다. 시평액이 크게 증가하면서 순위도 덩달아 높아졌다. 지난해 17위에서 올해 12위를 보였다.
DL건설의 시평 순위 상승은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지난해 7월 삼호가 고려개발을 흡수 합병한 후 시평 결과도 이를 반영해 두 회사 시평액을 합쳐 발표했다. 삼호가 이름을 바꾼 것이 지금의 DL건설이다.
주택 분야에서 강점이 있던 삼호와 토목 분야에서 경쟁력이 있던 고려개발이 하나가 되자 공사실적 규모가 커졌다. 2019년 시평 30위였던 삼호와 54위였던 고려개발이 시너지를 낸 셈이다.
두 회사는 과거 법정관리를 겪으며 시평 순위에서 오랜 기간 저조한 위치에 자리한 바 있다. 삼호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이에 따른 주택 경기 악화로 워크아웃에 처해졌고 2013년부터 당기순이익이 흑자전환하면서 2016년 말 법정관리에서 벗어났다.
고려개발은 이보다 더 늦은 2011년 삼호와 유사한 이유로 경영이 악화돼 워크아웃을 신청했고 2019년 말 8년만에 워크아웃에서 졸업했다. 이 탓에 삼호는 2017년 시평액 1조를 돌파하며 지난해 30위까지 순위가 높아졌지만 고려개발은 합병 직전 해였던 2019년까지 시평액 6000억~7000억원을 오가며 50위권을 기록했다.
DL건설은 지난해 합병을 계기로 회사 규모가 커지면서 올해 시평 순위 상승에 가속도가 붙었다. 시평액은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을 더해 계산되는데 올해 시평에서는 경영평가액이 급상승했다.
지난해 DL건설 경영평가액은 2651억원이었지만 올해 경영평가액은 1조3065억원까지 늘었다. 경영평가액은 실질자본금에 경영평점을 곱한 값의 80%다. 경영평점은 차입금의존도, 이자보상배율, 자기자본비율, 매출순이익율, 총자본회전율 등을 바탕으로 계산된다.
DL건설 자본은 2019년 말 4578억원에서 지난해 말 8019억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전국적인 주택 분양 시장 호황으로 인해 수익성 지표도 개선됐다. 지난해 DL건설 매출은 1조7347억원, 영업이익은 2034억원으로 전년 매출 1조2799억원, 영업이익 1430억원 대비 각 36%, 42% 증가했다. 도시정비와 민간 건축 사업이 실적을 견인했다. 외형 확대뿐만 아니라 중복된 인력·비용 지출을 줄여 사업 효율화를 달성하기도 했다.
공사 실적 측면에서도 DL건설은 지난해 토목 분야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 지난해 업종별 공사실적 현황에 따르면 DL건설은 토목 분야에서 기성액 4112억원으로 9위를 차지했다.
DL건설은 토목 중에서도 도로, 철도, 지하철 공사에서 뚜렷한 실적을 거뒀다. DL건설의 도로 공사 기성액은 2016억원으로 도로 공사 분야 9위였고 철도 공사는 7위(732억원), 지하철 공사는 9위(322억원)를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아세아그룹 밸류업 점검]'저PBR' 아세아시멘트, 주주환원 안간힘에도 '제자리걸음'
- [Company Watch]한진, 순손실로 돌아선 배경 '통상임금'
- [Red & Blue]'대웅체제 본격화' 시지메드텍, 주가 '꿈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이차전지 소재사업 나선 나노실리칸첨단소재, 조달 관건
- [다시 돌아온 초록뱀 그룹]원영식 회장, 쌍방울그룹 디모아 후방지원 '눈길'
- [VC 라운지 토크]벤처투자 '친목회 교과서’ 84모임, 클럽딜 결실 '끈끈'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엔지스테크널러지에 베팅한 다산네트웍스, 재개 촉각
- [딥테크 포커스]유라클, 기업·기관용 AI 구축 원년 기대감
- 박셀바이오, 신사옥 구축 시동…첨생법 상업화 전략 본격
- [K-바이오텍 열전]고진국 알테오젠헬스케어 대표 "테르가제 해외 진출 시동"
이정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Deal Story]동원시스템즈, 계열 실적 안정성 통했다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톱10 중 제재 최다 신한증권, 내부통제로 달라질까
- [키스트론 IPO]밸류 목표 PER 10배…일본서 피어그룹 찾았다
- [키스트론 IPO]순환출자 해소 목적 불구 구주매출 과도, 투심 향방 관심
- [thebell League Table]트럼프 불확실성에 주춤?…뚜껑 열어보니 달랐다
- [thebell League Table]NH증권, DCM 1위 경쟁 올해는 다르다
- [롯데글로벌로지스 IPO]3000억 필요한 롯데지주, 정기평가만 기다린다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모회사 참여 공언 ㈜한화, 회사채 재차 발행할까
- [Korean Paper]'10년물' 베팅 LG엔솔 투자자…성장성 우려 덜었다
- 삼성SDI와 한화에어로가 비판을 피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