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 '플레이엠-크래커' 합병…글로벌 경쟁력 목적 윤영로 크래커 대표 잔여지분 인수
최필우 기자공개 2021-09-17 11:13:33
이 기사는 2021년 09월 16일 18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산하 K-POP 기획사 두곳을 합병했다. 카카오엔터는 계열사 독립 경영을 보장하면서 가급적 별도 법인 체제를 유지해 온 곳이다. 자회사 37곳을 둬 158개로 이뤄진 카카오 공동체 중 가장 많은 법인을 보유하고 있다.16일 전자공시에 따르면 카카오엔터는 플레이엠엔터테인먼트와 크래커엔터테인먼트를 합병해 하나의 법인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크래커엔터가 플레이엠엔터에 흡수합병된다.

크래커엔터는 옛 로엔엔터테인먼트 산하 레이블이 전신이다. 로엔엔터가 카카오에 피인수되면서 공동체에 합류했고 2016년 5월 자회사로 독립했다. K-POP 보이그룹 '더보이즈'가 속해 있다. 윤영로 크래커엔터 대표가 회사를 이끌고 있다. 윤 대표는 크래커엔터 보통주 8000주(지분율 0.94%)를 카카오엔터에 매각하면서 오너십을 완전히 넘겼다. 카카오엔터는 윤 대표 잔여 지분을 3200만원에 매입하면서 크래커엔터 기업가치를 34억원으로 책정했다.
카카오엔터는 그간 계열사 독립 기조를 유지했다. 가수 아이유 소속사 이담엔터테인먼트, 유희열 소속사 안테나 등도 카카오엔터 자회사다. 이같이 개성이 뚜렷한 레이블을 통합할 경우 마이너스(-) 효과가 날 수 있다고 봤다. 플레이엠엔터, 크래커엔터 등도 독립 법인 형태를 유지해 소속 아티스트들이 독자적 경쟁력을 갖추게 하려 했다.
다만 크래커엔터가 더보이즈 한 개 그룹을 둔 채 좀처럼 아티스트 포트폴리오를 확장하지 못하면서 자회사 관리 전략에 변화를 주기로 했다. 카카오엔터가 플레이엠엔터와 크래커엔터 측에 합병을 제안했다. 플레이엠엔터가 존속법인이지만 내부 조율을 거쳐 새로운 간판을 건 엔터사로 새롭게 출범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카카오 공동체 안팎에서 경영효율성을 높여야한다는 지적이 나온 것도 합병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무한정 계열사 수를 늘리는 것보다 실속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독자적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자회사를 존속하는 것보다 자회사간 합병으로 존재감을 키울 필요가 있다.
카카오엔터는 숙원인 글로벌 행보 강화 차원에서도 합병이 낫다고 판단했다. 플레이엠은 허각, 에이핑크, 빅톤, 위클리 등의 그룹을 보유하고 있지만 해외 인지도는 다소 떨어진다. 더보이즈가 합류하면 해외 진출을 도모하는 데 힘을 보탤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렸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개성이 뚜렷한 레이블은 독립성을 보장하고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곳들은 합병하는 식으로 멀티 레이블 체제를 고도화하겠다"며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차원의 결정"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명확해진 M&A 원칙, 힘실릴 계열사는 어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베트남은행, 한국계 해외법인 '압도적 1위' 지켰다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밸류업 재시동 트리거 '비은행 경쟁력'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NH농협, '보험 전문가' 후보군 꾸렸지만 선임은 아직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40년 커리어' 마지막 과업, 금융시장 '부채→자본 중심' 재편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JB금융, 사외이사 후보군 '자문기관 위주' 전면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