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캐피탈, 여성 사외이사 계보 이어간다…김윤정 교수 선임 사외이사진에 매년 한 명씩 여성 포함…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이기욱 기자공개 2022-04-01 08:18:29
이 기사는 2022년 03월 31일 10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새 자본시장법 시행으로 인해 여성 사외이사 선임이 국내 주요 상장사들의 주요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현대캐피탈의 여성 사외이사 선임 행보가 재조명 받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사외이사진을 처음 구성한 이후 매년 한 명의 여성 사외이사를 이사회에 포함시켜왔으며 올해에도 새롭게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하며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앞으로도 이사회의 다양성과 독립성을 향상시켜 ESG경영 가치를 제고할 방침이다.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캐피탈은 최근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김윤정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를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김 이사는 1975년 출생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와 미국 하버드대학교와 미시간대학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김 이사는 오는 2024년까지 국제 거시경제 전문가로서 현대캐피탈을 위해 다양한 목소리를 낼 예정이다.
김 이사의 선임으로 현대캐피탈은 사외이사진 구성 이후 지켜오고 있는 여성 사외이사 선임 전통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됐다. 김 이사는 현대캐피탈 역대 4번째 여성 사외이사에 해당한다.
현대캐피탈의 여성 사외이사 선임 역사는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여신전문금융업법 시행령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자산 2조원 이상의 캐피탈사들은 의무적으로 사외이사를 선임해야 했고 현대캐피탈은 6명의 신임 사외이사를 선임했다. 그 과정에서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여성 인사인 전성빈 서강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도 사외이사진에 포함시켰다.
전 이사는 2015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임기를 수행했고 현대캐피탈은 전 이사의 임기만료에 맞춰 또 다른 여성 사외이사 유순신 유앤파트너즈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유 이사 역시 2년의 임기를 채웠고 2020년 3월 문효은 아트벤처스 대표이사가 그 계보를 이었다. 문 이사는 올해 초까지 현대캐피탈 사외이사직을 역임했으며 최근 GS그룹 지주사 (주)GS의 첫 여성 사외이사로 선임되며 주목을 받기도 했다.
국내 캐피탈사 중 여전법 시행령 개정 이후 약 7년동안 매년 여성 사외이사가 이사회에 참여한 사례는 현대캐피탈이 유일하다. 업계 2위 KB캐피탈의 경우 지난해 처음으로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했으며 3, 4위 하나캐피탈과 신한캐피탈은 아직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하지 않고 있다. 대형사 중에서는 우리금융캐피탈(옛 아주캐피탈)이 지난 2017년 이창순 경희대학교 교수와 지난해 이지윤 연세대학교 교수 등 여성 사외이사를 선임하며 이사회 다양성 확보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앞으로도 여성 사외이사를 적극적으로 선임할 방침이다. 현대캐피탈의 경우 비상장사기 때문에 여성 사외이사 선임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자체적인 노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현대캐피탈 관계자는 “이사회에 다양한 구성원들을 참여시켜 이사회의 독립성과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라며 “반드시 한 명으로 여성 사외이사의 수가 정해져있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늘어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GC인삼공사, 혈당 케어 브랜드 ‘GLPro’ 확장
- [i-point]원영식 오션인더블유 회장, 산불 피해 장애인·주민 후원
- [thebell note]WM의 IB화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ETF 포트폴리오 추가…삼성·미래에셋운용의 '고민'
- [Product Tracker]IMM로즈골드5호 GP커밋, 유동화 펀드 구조는
- 전진건설로봇 기초자산 EB…운용사 우려에도 700억 매듭
- 엘엑스운용 'NPL펀드' 론칭…패밀리오피스 자금 확보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마이다스에셋운용, 적극적 행사기조 '현재진행형'
- ACE 미국500타겟커버드콜, 월배당 매력 '눈길'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하위운용사도 눈치싸움…"증권사 무방 vs 기존 선호"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이노큐브의 비전 바이오 생태계 조력자 'End to End' 지원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CGT 전방위 협업, 넥스트는 확장성·안정성 강점 'zCAR-T'
- [종근당·앱클론 동행 전략]표면적으론 CAR-T 사업화, 숨은의미 제약업 'CGT 주도권'
- [thebell interview]알지노믹스, 일리 1.9조 빅딜 유전자 편집 플랫폼 확장 핵심
- 오상헬스, 엔데믹 부진 끊고 '흑자'…"기대할 것 더 있다"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조카에 유리한 신주상장 가능 결론…이사 유지 가처분 주목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대형사 맞선 선제투자, 패러다임 전환 구심점 '이노큐브'
- 휴젤, 주가도 '차석용 매직' 순익보다 많은 주주환원
- [Sanction Radar]관세 두렵지 않은 GC녹십자, 알리글로 美 고마진 전략 유지
- [한독 오픈이노베이션 전략]태생부터 '협업 DNA', 투자로 다져진 70년 성장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