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십 시프트]'위즈위드' ISE커머스, 경영권 거래 1070억 오고 간다①양영환 D&C민은 대표, 매수 전면 등장…16년 만에 최대주주 손바뀜
신상윤 기자공개 2022-05-09 07:35:55
[편집자주]
기업에게 변화는 숙명이다. 성장을 위해, 때로는 생존을 위해 변신을 시도한다. 오너십 역시 절대적이지 않다. 오히려 보다 강력한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경영권 거래를 전략적으로 활용한다. 물론 파장도 크다. 시장이 경영권 거래에 특히 주목하는 이유다. 경영권 이동이 만들어낸 파생 변수와 핵심 전략, 거래에 내재된 본질을 더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기사는 2022년 05월 03일 16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온라인 이커머스 플랫폼 '위즈위드' 등을 운영하는 아이에스이커머스(ISE커머스)가 새 주인을 맞는다. 경영권을 포함한 구주 거래로만 1070억원이 오고간다. 매수자 측은 비상장 법인과 투자조합 등 재무적 투자자(FI)들과 연합군을 형성해 지분을 사들일 계획이다.3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사 ISE커머스는 경영권 매각 절차를 밟고 있다. ISE커머스 최대주주 '아이에스이네트워크' 등 특수관계인은 최근 보유 주식 1704만7493주(66.01%)와 경영권을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다수의 FI들이 참여한 가운데 1주당 평균 매각액은 6276.6원으로 평가됐다. 총 거래금액은 1070억원이다.

눈에 띄는 점은 매수자들이 공통적으로 부동산 관련 사업과 관련이 깊다는 점이다. 양 대표가 경영하고 있는 D&C민은은 분양 대행 및 부동산 개발, 건축 시행 등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또 다른 매수자 '㈜호태'는 부산에 본사를 둔 부동산 매매 및 임대사업을 주업으로 한다. ㈜엠디지홀딩스 역시 부동산 개발, 시행 및 분양 사업을 사업목적에 담고 있다.
2000년 8월 설립된 ISE커머스는 해외 의류 브랜드를 판매하는 온라인 플랫폼 '위즈위드' 등을 운영한다. SK그룹 내 계열사로 출발했으나 몇 차례 매각 절차를 밟아 2006년 4월 현재 최대주주인 '아이에스이네트워크'가 경영권을 인수했다. 아이에스이네트워크는 부동산 임대업 등을 영위하는 비상장 법인이다.
16년 만에 지배구조가 바뀌는 만큼 ISE커머스는 체질 개선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대기업 계열사들이 진출하면서 ISE커머스의 주력 시장인 이커머스 산업은 경쟁이 격화된 상황이다. 이에 ISE커머스도 지난해 매출액 215억원, 영업손실 78억원을 기록하면서 적자 전환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22.9% 줄어든 수준이다.
매수자 측은 오는 24일 ISE커머스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이사회에 입성할 전망이다. 이날 주주총회는 정관 변경과 이사 선임 등이 예고됐다. 이와 관련 업계에선 ISE커머스 M&A가 구주 거래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실질적인 전략적 투자자(SI)가 따로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내놓고 있다. 코스닥 M&A 시장에선 원활한 자금 조달과 주가 변동성 등의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FI나 투자조합을 계약 주체로 내세우는 경우가 적지 않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 기업은행, 변동성 장세에 단기채 위주 대응 추천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
- [thebell desk]삼호개발의 도전과 발전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지에이이노더스, '현대건설' 이탈 후 홀로서기 본격화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지에이이노더스, 위축된 경영 여건…투자로 활로 모색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이사회, 기타비상무·사외이사 추가 구성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경쟁력 원천 '포천 석산'에도 업황 탓 고전
- 현대건설, 수익성 8% 목표…TSR 주주환원 첫 도입
-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에너지 트랜지션 리더 도약"
-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평택 반도체 훈풍 속 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