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엔플러스, 리사이클 기술로 양극활물질 개발 전구체 재활용 NCM 811 생산, 2차전지 배터리 주행거리 개선 효과 기대
신상윤 기자공개 2023-01-30 14:17:41
이 기사는 2023년 01월 30일 14시1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가증권 상장사 이엔플러스는 전구체 리사이클 기술로 양극활물질 'NCM 811'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NCM 811은 니켈과 코발트, 망간 함량이 각각 8:1:1 비율로 포함됐다.NCM 양극재를 활용한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 배터리 3사가 주력하는 2차전지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엔플러스는 이번에 개발한 양극활물질로 테스트 목적의 샘플용 2차전지를 만들었다.
자체 테스트를 진행해 국내 대기업들의 2차전지와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확인했다. 대기업에서 생산한 2차전지는 1차 충·방전 테스트에서 평균 201.9mAh/g 방전 용량을 기록했다. 이엔플러스 제품은 비슷한 수준인 204.4mAh/g 방전 용량이 측정됐다.
이로써 이엔플러스는 지난해 11월 리튬·인산·철(LFP) 개발에 이어 NCM 개발로 양극재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2차전지 리사이클 기반의 신규 사업도 추진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리사이클 원료를 활용하면 수입 의존을 낮출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이 개선된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에도 적용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IRA 대응을 위해 원료 확보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확보에 나선 상황이다.
이엔플러스 관계자는 "리사이클 전구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개발은 지난해 양극재 분야 역량 강화를 위한 잔류 리튬 감소 등 특허 확보로 이뤄낸 성과 중 하나"라며 "제품 품질에 대한 우수성을 확인한 테스트를 바탕으로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양극재는 배터리 원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만큼 이익률 또한 우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
- [thebell desk]삼호개발의 도전과 발전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지에이이노더스, '현대건설' 이탈 후 홀로서기 본격화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지에이이노더스, 위축된 경영 여건…투자로 활로 모색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이사회, 기타비상무·사외이사 추가 구성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경쟁력 원천 '포천 석산'에도 업황 탓 고전
- 현대건설, 수익성 8% 목표…TSR 주주환원 첫 도입
-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에너지 트랜지션 리더 도약"
-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평택 반도체 훈풍 속 입주
- [건설부동산 줌人]'김한영호' 한국종합기술, 신재생에너지 강화 낙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