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유업 M&A 법정다툼]'연전연승' 화우, 인수합병 분쟁 강자로'판사 출신' 김유범 그룹장 담당, 아시아나항공 이행보증금 소송 등 '두각'
김경태 기자공개 2023-02-15 07:55:21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4일 13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법무법인 화우가 인수합병(M&A) 분쟁 소송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최근 가장 주목도가 높은 M&A 법정다툼인 남양유업 소송에서 가처분과 본안소송을 가리지 않고 매번 승소하면서 역량을 과시했다. 화우가 남양유업을 비롯해 과거에 쌓은 승소 경쟁력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M&A 분쟁에서 두각을 드러낼지 주목된다.14일 투자 및 법조계에 따르면 화우는 소송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송무 부문에 M&A 분쟁 전담 팀을 두고 있다. 김유범 변호사가 그룹장이며 류정석 변호사가 팀장 역할을 맡고 있다. 총 15명의 변호사로 구성돼있다.

김 변호사는 남양유업 소송에서 사모투자펀드(PEF) 한앤컴퍼니의 소송 대리인단을 이끌었다. 2021년 8월부터 시작된 분쟁에서 가처분과 주식양도(계약이행) 등을 가리지 않고 활약했다. 홍원식 남양유업 회장 측의 변호를 맡은 엘케이비(LKB&)파트너스, 법무법인 바른과 정면승부를 펼쳐 승소를 가져왔다.
류 변호사는 기업과 회계에 밝은 법조인이다. 특히 기업 지배구조, 경영권 분쟁, 기업회생 분야의 베테랑이다. 그는 서울 영락고를 졸업한 뒤 서울대에서 경영학을 전공했다. 제 41회 사법고시에 합격한 뒤 연수원을 31기로 수료했다. 그 후 삼일회계법인, 청운회계법인, 법무법인 화백을 거쳤다. 2003년 화우에 합류했다.
법조계에서는 최근 시장 상황과 맞물려 화우가 향후 M&A 분쟁 분야에서 입지를 더욱 확장할지 주목한다. 지난해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M&A가 지연되거나 결렬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대형 로펌 고위 변호사 등에 따르면 올해 관련 분쟁이 속출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다.
과거 M&A 분쟁의 경우 '기업 대 기업'의 다툼이 주를 이뤘다. 한화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이행보증금 소송이 대표적이다. 아시아나항공과 HDC현대산업개발의 이행보증금 소송도 있다. 화우는 아시아나항공을 대리해 작년 1심에서 승소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PEF 운용사가 M&A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 떠오르면서 기업과의 분쟁도 점차 발생하는 추세다. 2018년부터 시작된 LS엠트론과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의 소송이 그 사례다. LS엠트론의 전자부품사업부 주식양수도계약(SPA) 파기 책임 소재를 두고 다퉜다. 이때 스카이레이크인베스트먼트는 법인 명의로 보유한 본사 건물을 가압류 당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교보생명과 재무적투자자(FI)간 법정다툼이 대표적이다.
화우가 활약한 남양유업 M&A 소송은 PEF 운용사와 기업 오너의 분쟁이라는 점 외에 여러 쟁점이 얽혀 있다. 특히 M&A 쌍방대리에 관해 국내에서 사실상 처음으로 판결이 나온 소송이다. 남양유업 본안소송 1심과 2심, 가처분 소송 재판부는 김·장 법률사무소(김앤장)의 배임적 쌍방대리를 인정하지 않았다. 통상 M&A에서 로펌의 역할은 법률적으로 의사결정을 대신 할 수 있는 '대리'가 아닌 '자문'이라는 점을 인정했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