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 경영권 분쟁]국민연금, SM 지분 절반 이상 매도…의결권 향방은2월 들어 4차례 매각, 차익실현 목적으로 파악…주총 의결권 행사여부 '주목'
이지혜 기자공개 2023-03-06 11:02:42
이 기사는 2023년 03월 03일 14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국민연금공단이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을 절반가량 팔았다. SM엔터테인먼트 지분을 9% 가까이 보유한 큰 손이었지만 2월 한 달 동안 주식을 대량 매각하면서 현재 보유지분은 약 4% 정도인 것으로 파악된다.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국민연금이 어떤 결단을 내릴 지에도 이목이 쏠린다. 국민연금은 SM엔터테인먼트 지분을 상당수 보유해 표심 향배를 가를 핵심적 투자자로 여겨졌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의결권 행사를 축소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민연금, SM 주식 1200억어치 처분
3일 SM엔터테인먼트가 공시한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보유한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은 모두 102만8309주로 보유비율은 4.32%인 것으로 집계됐다. 1월 말까지만 해도 국민연금은 SM엔터테인먼트 지분을 8.96% 보유하고 있었는데 절반가량을 장내매도 방식으로 처분했다.
국민연금은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을 2월 한 달 동안 4차례에 걸쳐 팔았다. 2월 7일, 9일, 13일, 21일 각각 매각했다. SM엔터테인먼트 종가를 살펴보면 2월 7일 9만100원, 9일 9만8500원, 11만6000원, 21일 12만3500원 등이다. 종가 기준으로 봤을 때 1167억원어치 주식을 판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상당한 차익을 남겼을 것으로 파악된다. 국민연금은 2021년 말 SM엔터테인먼트 지분을 6.16% 보유하고 있다가 지난해 들어 3분기까지 8.96%로 지분을 확대했다. SM엔터테인먼트 주가가 2021년 상반기 3만~4만원대에서 오르내리다 2022년 들어 6만~7만원대로 상승한 점을 고려하면 국민연금이 투자금의 몇 배나 되는 차익을 거뒀을 수 있다.
국민연금이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을 판 배경에도 이목이 쏠린다. 업계 관계자는 "SM엔터테인먼트 주가가 12만~13만원대를 형성한 지금이 고점이라고 판단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의결권 행사 지분은 여전히 9%, 향후 행보 '주목'
국민연금의 의결권 행사 여부에도 이목이 쏠린다. 비록 SM엔터테인먼트 지분을 절반가량 팔았지만 의결권은 8.96%만큼 행사할 수 있다. 주총에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주명부는 202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삼는다.
그러나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9%가량 오롯이 행사하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기관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도하고 나면 판 만큼의 주식에 대해서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는다"며 "다만 국민연금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M엔터테인먼트 정기주총에서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 의결권은 중요성이 한층 더 커졌다. SM엔터테인먼트 주가가 12만원 이상으로 치솟은 탓에 하이브의 공개매수 전략이 차질을 빚은 탓이다. 하이브는 SM엔터테인먼트 최대주주로서 14%가량의 지분을 확보하긴 했지만 안정적 경영권을 확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SM엔터테인먼트 주주들이 주총에서 현 경영진-얼라인파트너스-카카오와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하이브 중 어느 진영의 이사진을 택하느냐에 따라 향후 경영권이 판가름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SM엔터테인먼트는 이달 31일 금요일 오후 12시,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83-21, 아크로서울포레스트D타워 2층 회의실에서 정기주총을 열 예정이다.
SM엔터테인먼트의 현 경영진은 장철혁 CFO 등 내부 임원 3명을, 하이브는 정진수 하이브 최고법률책임자(CLO) 등 3명을 SM엔터테인먼트 사내이사 후보에 올렸다. 이밖에 각 진영에서 사외이사를 각각 추천하며 주총에서 표 대결을 예고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푸드케어' 메디쏠라, 130억 규모 시리즈 A 투자 유치
- [한미약품그룹 리빌딩]지주 첫 CEO 김재교 부회장, '오픈이노베이션' 직접 챙긴다
- [기술특례 새내기주 진단]'의료기기' 플라즈맵, 수익성 개선 '언제쯤'
- 건설기계기업 호룡 IPO 나선다…실적·재무흐름 긍정적
- [아이티켐 IPO]상장 준비 착착…이사회 정비·RCPS 정리, 실적까지 '호조'
- [한화에너지 IPO]밸류 방향타 '지분법 이익'…㈜한화 주가 '예의주시'
- [키스트론 IPO]순환출자 해소 목적 불구 구주매출 과도, 투심 향방 관심
- [도우인시스 IPO]뉴파워프라즈마의 선구안, 경영권 인수로 '화룡점정'
- [인투셀 IPO]ADC 키워드 장악, '제2의 리가켐' 노린다
- [SK엔무브 IPO]상장 앞두고 실적 '주춤'…밸류 영향줄까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모니터/SOOP]‘비욘드 코리아’ 달성 목표, 글로벌 인사 전진배치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하이브 이재상 "어도어 사태, 멀티 레이블 튜닝 중 진통"
- [이사회 분석]NEW, 유제천 사장 포함 5인 재신임 ‘안정 택했다’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카카오엔터, '베리즈'로 K컬처 통합 팬덤 플랫폼 야심
- [Company Watch]NEW, 2년 연속 적자…승부는 올해부터
- [Company Watch]하이브 흔든 BTS 공백, 뉴진스 리스크는 ‘올해부터’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하이브 플랫폼 핵심 위버스, 적자 속 희망 '유료화'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JYP엔터, MD 확대 초석 '사업목적 대거 추가'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성장 멈춘 디어유, 텐센트·SM엔터 협력 '재도약' 시동
- [Company Watch]JYP엔터, 블루개러지 집중 투자…수익성·기업가치 압박